식물의 한살이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과학)
키워드: 싹트기, 잎, 줄기, 꽃, 열매의 자람, 식물의 한살이
1. 씨의 싹트기
* 씨(종자)
씨란 무엇일까?
- 식물의 열매 속에 있는, 장차 싹이 터서 새로운 생물체가 될 단단한 물질
- 곡식이나 채소의 씨는 씨앗이라고 함.
* 씨의 구조
- 배: 새로운 식물이 될 부분 (뿌리, 줄기, 잎이 될 부분)
- 배젖 또는 떡잎: 씨가 싹 터서 자라는 데 필요한 양분이 저장되어 있는 부분 (양분을 만드는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잎이 있어야 하는데 씨앗은 잎이 없으므로 배젖 또는 떡잎에서 양분을 얻음.)
(옥수수씨의 경우 배젖과 배, 강낭콩씨의 경우 떡잎과 배)
* 여러 가지 씨의 특징 (차이점과 공통점을 아시면 됩니다.)
- 강낭콩씨: 검붉은색, 알록달록한 색, 둥글고 길쭉한 모양, 매끈한 촉감, 가로 1.6cm, 세로 0.8cm 정도 크기
- 볍씨: 노란색, 길쭉한 모양, 거친 촉감, 가로 0.6cm, 세로 0.3cm 정도 크기
- 옥수수씨: 노란색, 하얀색, 자주색 등, 윗부분은 둥글고 옆쪽은 모가 나 있으며 매끈한 촉감, 가로 0.9cm, 세로 0.8cm 정도 크기
- 봉숭아씨: 어두운 갈색, 둥근 모양, 거친 촉감, 가로 0.2cm, 세로 0.1cm 정도
- 은행나무씨: 연한 노란색, 달걀 모양과 비슷한 모양, 매끈한 촉감, 가로 1.6cm, 세로 1.0cm 정도
- 채송화씨: 검은색, 둥근 모양, 매끈한 촉감, 너무 작아 재기 어려운 크기
→
씨의 차이점: 여러 가지 씨는 색깔, 크기, 모양, 촉감이 다양하다.
씨의 공통점: 단단하다, 껍질에 둘러싸여 있다.
* 씨가 싹 트기 위해서는 적당한 양의 물과 알맞은 온도가 필요하다.
2. 식물의 한살이
* 식물의 한살이란?
씨가 싹 트고 자라 꽃이 피고 열매를 맺어 다시 씨를 만들어내고 죽기까지의 과정
* 식물의 한살이 과정
씨 → 싹트기 → 잎과 줄기가 자람. → 꽃이 핌. → 열매가 자람.
* 식물의 한살이 관찰하기
(1) 화분에 씨를 심기
- 작은 돌로 화분 아랫부분의 물 빠짐 구멍 막기
- 화분에 거름흙을 3/4 정도 넣기
- 씨 두께의 2~3배 깊이로 씨를 심고 흙을 덮기
- 물뿌리개로 충분히 물주기
- 햇빛이 비치는 곳에 두기
(2) 씨가 싹이 터서 자라는 과정
- 강낭콩이 싹 터서 자라는 과정
떡잎은 양분을 공급해주는 역할인 동시에 본잎을 보호해주는 역할. 떡잎이 점차 시들게 되면서 본잎이 자라게 됨.
- 옥수수씨가 싹 터서 자라는 과정
(3) 잎과 줄기의 자람
① 잎과 줄기의 자람 관찰 방법
- 잎의 개수 세어보기
- 잎의 크기 변화 알아보기 (잎의 격자무늬가 몇 센티미터 길어졌는지)
- 줄기의 개수 세어보기
- 줄기의 길이 재어보기 (줄자를 사용하면 식물이 다치지 않게 측정할 수 있다.)
② 잎과 줄기가 자라는 모습
- 잎이 넓어지고 개수가 많아진다.
- 줄기가 굵어지고 길어진다.
- 줄기의 끝 부분에서 새로운 잎이 생긴다.
(4) 꽃과 열매의 자람
① 꽃과 열매의 자람 관찰 방법
- 꽃망울의 개수 세어보기
- 꽃의 크기 변화 알아보기
- 열매의 개수 세어보기
- 열매의 길이 재어보기
② 꽃과 열매가 자라는 모습
- 꽃봉오리의 개수가 점점 많아지고 꽃이 피기 시작한다.
- 활짝 피는 꽃이 많아진다.
- 꽃이 진 자리에 열매가 열린다.
- 열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커진다.
*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조건 알아보기
물을 준 강낭콩: 잎이 진한 초록색으로 싱싱하게 잘 자람.
물을 주지 않은 강낭콩: 잎이 누렇게 변하며 줄기가 시들고 축 늘어짐.
햇빛을 받은 강낭콩: 잎이 크고 두꺼우며 진한 초록색임. 20일간 18cm, 줄기는 굵고 짧게 자람. 5mm
햇빛을 받지 못한 강낭콩: 잎이 작고 얇으며 연한 초록색임. 20일간 2cm, 줄기는 가늘고 길게 웃자람(쓸데없이 보통 이상으로 많이 자라 연약하게 됨.). 2.5mm
→ 식물이 잘 자라기 위해서는 적당한 물과 햇빛이 필요하다.
* 여러 가지 식물의 한살이 비교
식물의 한살이는 기간에 따라 한해살이 식물과 여러해살이 식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 한해살이 식물의 한살이: 봄에 싹이 터서 자라 여름에 꽃을 피우고, 가을에 열매를 맺어 씨를 만들어 대를 잇고 죽는다. (딸기, 강낭콩, 벼, 옥수수 등)
- 여러해살이 식물의 한살이: 봄에 싹이 터서 자라 여름에 꽃을 피우고 가을에 열매를 맺으며 겨울에도 살아남아 이듬해 새순이 다시 나오게 된다. (민들레, 국화꽃, 대부분의 나무들 등)
'과학 > 초등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4 과학] 혼합물의 분리 (두부 만들기 과정에도 이용한다고?!) (0) | 2020.08.29 |
---|---|
[초4 과학] 화산과 지진 (마그마와 용암의 차이는?) (1) | 2020.08.04 |
[초4 과학] 무게 재기 (무게와 질량의 차이는?) (0) | 2020.07.26 |
[초3 과학] 소리의 성질 (진공에서 소리가 들릴까?) (0) | 2020.07.25 |
[초3 과학] 액체와 기체 (공기 무게를 못 느끼는 이유) (0) | 2020.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