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생활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과학)
[키워드] 식물의 생김새, 분류, 식물이 사는 곳, 식물의 이용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과학 (식물의 한살이)에서 강낭콩 씨앗과 옥수수 씨앗이 자라는 과정을 배웠는데요,
복습하실 분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이 단원에서는 생김새를 위주로 식물의 특징을 살펴볼 거랍니다! :)
사진을 보며 학습하면 좋은 단원이니, 궁금한 식물이 있으면 찾으시면서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1. 식물의 생김새
* 식물이란
- 동물과 달리 영양분을 스스로 만들 수 있다. (먹이를 먹지 않아도 된다.)
- 근육계와 신경계가 없기 때문에 스스로 이동할 수 없다. (싹이 튼 곳에서 죽을 때까지 살아간다.)
- 싹이 튼 후 죽을 때까지 계속 자란다.
= 식물은 보통 뿌리, 줄기, 잎으로 되어 있으며,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도 한다.
- 식물은 저마다 다른 생김새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여러 가지 식물의 이름 알아보기
(1) 독특한 생김새에 따라 이름을 붙인 식물
- 할미꽃: 꽃이 필 때 머리가 땅을 향해 굽어 있음. 열매가 하얀색 털로 덮여 있음.
- 쥐똥나무: 나무에 달린 열매의 모양이 쥐똥처럼 생겼음.
- 도꺠비바늘: 열매 끝에 거꾸로 된 가시 모양의 털이 있어 옷이나 동물의 털에 잘 달라붙음.
(2) 다양한 특징에 따라 이름을 붙인 식물
- 애기똥풀: 줄기나 잎을 꺾을 때에 나오는 노란색 액체가 아기의 똥처럼 보여서 붙인 이름.
- 무궁화: 꽃이 피는 기간이 길어 7~10월 동안 꽃을 오래 볼 수 있어서 붙인 이름.
- 생강나무: 잎이나 줄기를 자르거나 문지르면 생강 냄새가 나서 붙인 이름.
* 생김새에 따라 여러 가지 식물의 잎 분류하기
강아지풀, 등나무, 토끼풀, 감나무, 대나무, 벚나무, 국화, 단풍나무, 연꽃 (그냥 이런 식으롭 분류하면 된다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분류 기준: 잎의 전체적인 모양이 좁은가?
→ 그렇다: 강아지풀, 대나무
분류 기준: 잎의 가장자리가 갈라졌는가?
→ 그렇다: 단풍나무, 국화
분류 기준: 잎이 한 장인가?
→ 그렇다: 단풍나무, 감나무, 강아지풀, 국화, 대나무, 벚나무, 연꽃
* 식물의 특징을 관찰하는 방법
- 사는 곳을 확인한다.
- 줄기의 모양을 관찰한다.
- 꽃이 피는 시기를 확인한다.
- 꽃의 모양과 색깔을 관찰한다.
- 잎의 모양을 관찰한다.
- 잎이 줄기에 붙어 있는 모습을 관찰한다.
→ 식물의 특징을 관찰할 떄는 잎, 줄기, 꽃의 모양과 색깔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글과 그림으로 나타낸다.
* 도깨비바늘의 특징
도깨비바늘은 바늘 끝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많이 있어서 짐승의 털이나 사람의 옷에 잘 달라붙는 성질이 있다.
이 도꺠비바늘의 성질을 이용해서
한 면은 도깨비바늘이 잘 붙는 옷의 천 모양으로
다른 면은 도깨비바늘의 모양으로 만들면 잘 붙는다는 아이디어를 이용해
매직테이프와 같은 접착식 테이프가 생겼음.
* 연꽃잎의 특징
연꽃잎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둥근 돌기가 나 있고, 둥근 돌기에는 잔털 같은 것이 많이 있음.
물을 떨어뜨려도 연꽃잎은 물에 젖지 않고 그대로 흘려보냄.
젖지 않고 물이 흘러내리는 연꽃잎의 원리를 이용해 방수복을 만들 수 있음.
물이 묻지 않는 방수유리나 방수 페인트도 만들 수 있음.
2. 식물이 사는 곳
* 식물이 사는 곳: 환경에 따라 달리 적응하여 생김새도 달라짐.
(1) 들과 산에 사는 식물
(2) 연못이나 강가에 사는 식물
(3) 특이한 환경에 사는 식물
- 높은 산 위
- 사막과 같이 건조한 곳
- 바닷가
* 들과 산에 사는 여러 가지 식물
A. 들과 산의 환경
(1) 들의 환경: 햇빛이 잘 들고, 평평한 평야가 많다.
(2) 산의 환경: 햇빛이 잘 비치는 곳과 그늘진 곳이 있다. 나무가 많은 숲속은 그늘져 있다.
B. 풀과 나무
(1) 풀: 명아주, 토끼풀
(2) 나무: 단풍나무, 소나무
- 풀과 나무의 공통점: 뿌리, 줄기, 잎이 있고 햇빛을 이용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살아감.
- 풀과 나무의 차이점
풀은 나무에 비하여 비교적 키가 작은데 나무는 풀에 비하여 비교적 키가 큼.
풀은 줄기가 가는 반면, 나무는 줄기가 굵고, 해마다 조금씩 자람.
풀은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로 나뉨. (여러해살이라고 해도 풀은 두 해 정도) 그런데 나무는 모두 여러해살이임.
풀은 관상용, 식용 등으로 사용함. 나무는 열매, 목재 등으로 사용함.
C. 솔이끼와 우산이끼
솔이끼는 병을 청소하는 솔 모양, 우산이끼는 잎사귀 같은 곳에 우산 모양이 붙어 있음.
솔이끼의 암그루는 긴 대롱이 있고, 그 끝에 홀씨주머니가 달려 있음.
솔이끼의 수그루는 긴 대롱과 홀씨주머니가 없음.
우산이끼의 암그루는 갈라진 우산 모양임.
우산이끼의 수그루는 펼쳐지 우산 모양임.
* 연못이나 강가에 사는 식물
A. 연못이나 강가의 환경
- 연못의 물은 고여 있고 강물은 흐른다.
- 강가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기도 한다.
B. 연못이나 강가에 사는 여러 가지 식물
(1) 물에 떠서 사는 식물: 몸의 대부분이 잎이며 수염과 같은 뿌리가 있음. (잘 뜰 수 있게 되어 있고 뒤집어지지 않게 되어 있음.) 예) 부레옥잠, 개구리밥, 생이가래
(2) 물속에 잠겨서 사는 식물: 줄기가 약하며(물의 흐름에 따라 잘 흔들리게) 잎이 좁고(물의 저항 줄임) 긴 것이 많고, 물속에서 꺼내면 축 늘어짐. 예) 검정말, 나사말
(3) 잎이 물에 떠서 사는 식물: 뿌리는 물속의 땅에 있고, 잎과 꽃은 물에 뜸. 예) 수련, 마름
(4) 잎이 물 위로 뻗어서 사는 식물: 뿌리는 물속의 땅이나 물가의 젖은 땅에 있으며, 키가 크고 줄기가 튼튼함. 예) 연꽃, 부들, 갈대
* 특이한 환경에 사는 식물
A. 특이한 환경
- 높은 산의 환경: 강한 바람이 불고 춥다. 눈이 쌓여 있다.
- 사막의 환경: 햇빛이 강하고 비가 적게 온다. 일교차가 크다.
- 바닷가의 환경: 바람이 세게 분다. 소금 성분이 많이 포함된 물이 있다. 햇빛이 강하고 낮과 밤의 차이가 크다. 해안 절벽은 바람이 세게 불고 흙이 조금밖에 없다.
B. 높은 산 위에 사는 식물
(1) 높은 산 위에 사는 식물: 산솜다리, 눈잣나무, 두메양귀비
줄기가 짧고 (바람에 꺾이면 안 되니까) 땅 위를 기어가듯이 자란다.
뿌리를 땅속 깊이 뻗어 강한 바람에 견딜 수 있다.
C. 사막에 사는 식물: 기둥선인장, 바오바브나무
물의 증발을 막기 위하여 잎이 작거나 뾰족한 가시 모양으로 변했다.
줄기는 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굵으며 두꺼운 껍질로 싸여 있다. (물이 쉽게 증발되지 않도록)
D. 바닷가에 사는 식물: 통보리사초, 갯메꽃, 순비기나무
줄기가 땅 위를 기어가듯이 뻗어 강한 바람에 잘 견딘다.
두꺼운 잎이 있어 강한 햇빛에도 견딜 수 있다.
윤기 나는 잎이 있어 잎으로 들어오는 소금 성분을 막아 준다.
* 물에 떠서 사는 식물의 특징 알아보기 (부레옥잠)
부레옥잠의 생김새: 잎의 모양이 둥글고 잎이 윤기가 난다. 잎자루가 마치 주머니처럼 생김. 줄기는 둥근 대 모양을 하고 있다.
부레옥잠의 잎자루를 자르면 공기주머니들이 다닥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세로로 자른 부레옥잠의 잎자루를 물에 담가 손에 힘을 주어 눌러 보면 공기방울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 부레옥잠의 잎자루에는 공기주머니가 있어서 물에 떠서 살기에 유리하다.
'과학 > 초등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4 과학] 거울과 그림자 (그림자의 크기 조절하는 법) (0) | 2020.08.30 |
---|---|
[초4 과학] 물의 상태 변화 (수증기와 김의 차이는?) (8) | 2020.08.29 |
[초4 과학] 혼합물의 분리 (두부 만들기 과정에도 이용한다고?!) (0) | 2020.08.29 |
[초4 과학] 화산과 지진 (마그마와 용암의 차이는?) (1) | 2020.08.04 |
[초4 과학] 식물의 한살이 (떡잎과 배젖, 배 뜻은?) (3) | 2020.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