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시간에는 비무장지대 dmz 의 지리적 특성과 구조, 38선과 휴전선(군사분계선)의 차이, 그리고 6.25 전쟁 당시 우리 국군이 압록강의 초산까지 진격하였던 초산 전투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비무장 지대의 지리적 특성
(1) 비무장 지대 DMZ
DMZ란 Demilitarized Zone의 약자, 무력 충돌을 막기 위해 국제 조약, 협약 등에 의하여 군대 주둔과 무기의 배치가 금지된 곳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후 비무장지대의 구조를 살펴보면, 남북 모두 비무장지대 내에 GP라는 초소가 있습니다. 산악지형이므로 높은 능선 아래에서 감시하는 것이 효율적이기에 남북 모두 비무장지대 내에 초소를 전진시켰습니다.)
- 의미: 한반도 허리에 동서로 뻗어 있는 띠 모양의 지대로 남북 분단의 상징이자 남한과 북한의 경계. 즉, 군사 활동의 한계선이 됩니다.

- 범위: 군사 분계선을 경계로 남북으로 각각 2km씩 설정된 남방 한계선과 북방 한계선 사이 지대로 군대 주둔, 무기 배치 금지, 남북한 사이 모든 무력 행위 허용 X 지역.
- 마을: 휴전 협정 당시 비무장 지대에 남북이 각각 마을을 하나씩 둔다는 내용이 있어 북한의 기정동 마을과 함께 대한민국에는 대성동 마을이 조성됨. 대성동 마을은 비무장 지대에 위치한 민간인 거주지로 국방과 납세의 의무가 면제되고 정부의 각종 지원을 받음. 국방 의무 회피 수단으로 이용되지 않기 위한 제도 역시 존재함.
-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민간인 통제선~남방 한계선 → 민간인 통제선을 민통선이라고 줄여 부르며 남방 한게선으로부터 10~12km에 걸쳐 있는 지역입니다.
(2) 비무장 지대의 가치
DMZ는 평화의 상징이자 멸종 위기 야생 동물이 잘 보존되어 있는 생태적 가치, 많은 유적과 유물이 보존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갖습니다.
2. 비무장지대의 구조
남방한계선 아래에 있는 군대인 GOP는 General OutPost (일반 전초기지)의 약어입니다. GOP는 남방한계선의 아래에서 철책을 수호하며. GP는 Guard Post (감시초소)의 약어입니다. GP는 비무장지대 내에서 민사행정경찰 신분의 무장 인원이 상주하며 적군의 동향을 감시합니다.
* 전초기지란 맨 앞에 나가 있는 초소, 병력 근거지를 의미합니다.

비무장지대 내의 GP를 살펴보면 대한민국의 경우, 두꺼운 콘크리트 벙커 요새 건물이며
북한의 GP에 해당하는 민경초소의 경우, 감시탑과 지하화된 건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까운 GP의 경우, 북한군의 목소리를 들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한편, 북방 한계선은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비무장 지대 쪽의 북방 한계선과 해상에서의 북방 한계선인 NLL이 그것인데요,
NLL 이남의 대표적인 대한민국 관할 영토로 서해 5도가 있습니다.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

3. 38선과 휴전선
현재의 군사 분계선(휴전선)은 비무장지대 내의 가상의 선으로 대한민국의 남방 한계선과 북한의 북방 한계선이 그 역할을 대신 하고 잇는데, 이는 대한민국 기준으로 동쪽이 더 긴 형국으로
휴전협정 기간 동안의 치열하고 처참했던 고지전의 결과로 얻은 것입니다. (원래 철원은 강원도의 곡창 지대로 번성한 도시였지만, 치열한 고지전의 탓에 쑥대밭이 되고 지금은 시골 마을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과거 대한민국의 영토였던 옹진 반도와 개성시는 북한 정권 치하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4. 국군이 압록강까지 진격했던 초산전투
헌법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영토는 압록강과 두만강변의 지대도 모두 포함합니다.
그러나 이 지대는 북한 정권 치하에 들어가게 되었죠.
이번에는 625전쟁 당시 압록강까지 정복하고 통일의 숨간을 잠시 맛보았던 초산 전투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초산전투 경과
1950년 10월 26일, 제6사단 제7연대 제1대대: 초산 남방 6km 지점 북한군 격퇴 후 압록강변 초산 점령.
하지만 10월 19일 이미 중공군이 압록강을 넘어와 초산과 북진 사이에 숨어 있었습니다.
제7연대는 퇴각로가 차단되어 사단본부에 연락,
제2연대가 퇴로를 확보하기 위해 출동하고 제7연대는 회목동으로의 철수 명령을 받습니다.
그러나 제2연대는 중공군의 기습 공격으로 포위됩니다.
이에 제7연대는 자력으로 탈출하게 되고
제6사단의 연대들은 흩어져 연대별로 개천에 집결, 많은 병력을 손실하게 되었습니다.

북한 위로 중국이 지배하고 있는 땅에는 우리나라의 유적이 많습니다.
고구려의 유적도 있고 발해의 유적도 있죠.
오늘날, 대한민국에게는 많은 과제가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궁금한 게 있다면, 과제헬퍼 질문하기!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가 동기화 취소 방법 : 카메라 업로드 , 자동 업로드 해제 (0) | 2021.01.04 |
---|---|
육군 부대 위치, 주한미군 기지 위치, 부대 단위 편제 (0) | 2021.01.03 |
네이버 메일 수신차단 방법 (네이버 아이디 스팸추가) (0) | 2020.12.31 |
1분만에 컴퓨터, 노트북으로 핫스팟 만드는 법 - 핫스팟 실행기 (0) | 2020.12.10 |
[한국사] 퀴즈로 정리하는 백제의 역사 2탄 (의자왕의 아들은?) (0) | 2020.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