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

경기민요, 남도민요, 서도민요, 동부민요, 제주민요 정리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한국 여러 지역의 민요, 그 특징에 대해 정리한 것입니다.

기본적인 장단과 토리에 대해서는 다음 콘텐츠에서 다루어보겠습니다.

공부하다 어려운 것 질문하기

 

1.경기민요


(1) 분포지역
-서울, 경기, 충청도 일부

(2) 시김새
-5음 음계 사용
-경토리:솔 라 도 레 미, 반경토리:라 도 레 미 솔
-순차진행이 특징적이다. (도약 진행 X)
-노래의 느낌은 대체로 밝고 경쾌하다.
-시김새를 넣음

(3) 대표 민요
-경복궁타령, 군밤타령, 늴리리야, 도라지타령, 아리랑, 후이야, 천안삼거리, 태평

경기민요(창부타령 토리)

8분 음표 즉, 가락이 많이 쪼개져 있는 것은 굿거리장단이 어울린다.
반대로, 가락이 많이 쪼개지지 않은 것은 중중모리장단이 어울림.

경토리: 늴리리야 (굿거리장단)
반경토리: 훨훨이 (중중모리장단)

 

2. 남도민요



(1) 분포지역
-전라도, 충청남도 일부

(2) 시김새
-주요 음: 미라시
미:굵게 떠는 음
라:평으로 내는 음
시: 약 반음 높은 ‘도’에서 강하게 꺾어 내는 음

(3) 대표민요
-강강술래, 자진강강술래, 진도 아리랑, 둥당기타령, 거문도 뱃노래, 고사리 꺾기, 개고리 개골청, 청어엮기, 나물노래 등

남도민요(육자배기 토리)

미라고 해서 다 떠는게 아님, 아래의 미에서 굵게 떨어줌

3. 서도민요


(1) 분포지역
-평안도, 황해도, 함경도 일부

(2) 시김새
-주요 음: 레(미)(솔)라도
레:평으로
라:잘게 떠는 음
도:흘러내리는 음

(3) 대표민요
-금다래꿍, 싸름, 풍구타령, 봉죽타령 등

서도민요 (수심가 토리)

시 또는 도, 둘 다 구심전수 된 것이기 때문에 표기가 다를 수 있다.
서도 민요는 위에서 잘게 떤다.

4. 동부민요



(1) 분포지역
-경상도, 강원도, 함경도 일부

(2) 시김새
-주요 음: 미(솔)라도(레)
-하행진행 시 특징적인 가락진행: 라-솔-미, 레-도

(3) 대표민요
-경상도: 쾌지나칭칭나네, 보리타작(옹헤야), 밀양아리랑, 도움소, 칭칭이 소리 등
-강원도: 강원도 아리랑



5. 제주 민요


(1) 분포지역
-제주도

(2) 시김새
-주요 음: 솔라도레미, 레미솔라시
-구성음과 창법이 경기민요와 서도민요와 유사 함.

(3) 대표민요
-서우제소리, 자진서우제 소리, 너영나영, 멜 후리는 소리(멸치잡는 소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