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

국악 토리란? 경토리, 수심가토리, 육자배기토리, 메나리토리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국악 민요 정리, 그 세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국악 민요의 정의와 분류, 용어 및 오선보 표기법지역별 민요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이번 정리는 이를 '토리'를 중점적으로 보다 쉽게 요약한 정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민요란?
오래 전부터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것
사투리, 지형의 특생, 생활 양식과 같은 지역의 특징을 지니고 발달하였다.
누가 언제 만든 음악인지 알지 모르지만, 입에서 입으로 전해내려 옴.
지역에 따라 다른 음악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 민요의 종류
(1) 토속민요
전문 소리꾼 X 일반인이 부른다.
일정한 지역에 한하여 전승됨.
상여소리, 훨훨이, 논매기 소리 등 일반인들이 일을 하거나 의례를 치르거나 함께 모여 놀면서 부르는 노래 - 아이들을 위한 교훈, 신세한탄 등
발생 시기가 오래되고 서정적이며 소박함.

(2) 통속민요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전문소리꾼이 부름
다양한 지역에서 전승됨
천안삼거리, 한강수타령, 도라지타령 등 교과서에서 보는 민요
토속민요에 비해 근래에 발생하여 보다 세련됨.

* 민요의 토리
우리나라 민요의 지역별 음악 양식의 특성
선법, 음의 기능, 시김새★ 등의 총체적 특징

* 시김새: 떠는 소리(아아아아아~), 흘려내리는 소리, 밀어올리는 소리, 구르는 소리 등으로 음에 변화를 주어 꾸밈음과 다름.

공부하면서 헷갈리는 것 질문하기


1. 경기민요 (경토리)


서울, 경기, 충청도 일부 지역
소리가 맑고 경쾌하며 서정적임.
음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짐.
늴리리아, 창부타령, 아리랑, 도라지타령 등

경기민요의 대표적인 특징을 경토리라고도 부름.
솔라도레미의 5개 음으로 이루어짐.
ex) 솔라솔라 도레도레 미 레미레도라솔 라솔라솔라 도레도레 미레도라솔라 도레도 도


2. 서도민요 (수심가토리)


평안도, 황해도 지역
장식음이 많고 '라'음을 떨어준다.
평안도: 수심가, 배따라기 등
황해도: 몽금포타령, 긴난봉가 등

서도민요의 대표적인 토리는 수심가토리다.
레미솔라도 (라는 떨어준다.)
콧소리로 탈탈거리며(가늘게) 떤다.

* 수심가토리 : 평안도
레미솔라도 - 라를 떨어줌.
ex) 수심가 - 슬프고 근심이 가득한 노래

[참고] 반수심가토리와 몽금포타령

* 반수심가토리 : 황해도 / 반수심가는 수심가와 다르게 정감있는 느낌으로 서도민요로 조금씩 나타난다.
라도레미솔 - 미를 떨어줌.
ex) 몽금포타령 - 정감있는 곡조의 노래 - 장단은 굿거리 장단

* 장단은 장구 장단 정리 게시물 참고.

몽금포타령은? (장산곶마루-에 ~~~)
황해도 장연군 장산곶에 있는 포구(항구)인 몽금포의 정경, 그리고 어부의 생활을 묘사한 노래

* 서도민요: '라'음 떨어줌. vs 남도민요: '미'음 떨어줌.
서도민요는 목을 조였다 풀어줬다 하면서 잘게 떨어준다. vs 남도민요는 소리를 둥글게 말아서 굵게 떨어준다.

3. 남도민요 (육자배기토리)


전라도, 충청도 이남 지역
꺾는 소리, 떠는 소리, 평으로 내는 소리
육자배기, 강강술래, 진도아리랑, 새타령 등

육자배기라는 대표적인 민요에서 육자배기토리란 토리 이름이 왔다.

대표 음 구성: 미, 라, 도-
미는 떠는 소리,
라는 평으로 내는 소리,
도-시는 꺾는 소리

(서도민요의 라는 콧소리로 탈탈거리는 느낌이라면 육자배기토리의 미는 굉장히 굵게 떨어주는 것을 얘기한다.)


4 동부민요 (메나리토리)


함경도, 강원도, 경상도 지역
함경도와 강원도는 애원조의 노래가 많다.
경상도는 빠르고 흥겨운 노래가 많다.
대표적인 곡: 한오백년, 옹헤야, 강원도아리랑 등

메나리 뜻: 강원도나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논 메는 소리로 불리는 노래.

* 메나리토리 음 구조
1) 상행 음계: 미라도레
2) 하행 음계: 레도라솔미 (하행할 때 메나리토리 특징이 잘 드러남. 내려올 때 '솔'을 거쳐서 내려옴. 솔을 안 거치면 육자배기 토리와 비슷. 육자배기토리와 메나리토리가 비슷하기 때문.)


5. 제주민요


제주도 지역의 민요
지역 사투리 많이 등장.
노동요에서 특유의 의성어 많이 씀.
너영나영, 오돌또기, 이야홍타령, 서우젯소리 등

우리나라 민요를 구별하는 토리에 속하지 않음.
즉, 우리나라 토리권에 속하진 않음.
제주민요만의 음악적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
따라서 가사에서 제주민요의 특징을 주로 찾음. (사투리, 지형 등)
가사만 보더라도 제주민요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