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

판소리와 창극, 가야금 병창과 산조, 풍물놀이 사물놀이 차이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이번 시간에는 판소리와 창극, 가야금 병창과 산조, 풍물놀이와 사물놀이, 그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부하시며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질문하기 탭을 이용해주세요.

질문하기

 

1.판소리와 창극


(1) 판소리

-고수(반주하는 사람)의 북 장단에 맞추어 한 사람의 창자가 소리를 하는 형태이다.

-판소리는 이야기를 노래로 부른다.

-판소리는 창자의 소리(노래), 아니리(대화 식의 말, 상황설명), 발림(몸짓)으로 구성한다.

-고수의 적절한 추임새가 중요하다.

-판소리 다섯 마당은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 흥부가이다.

 

(2) 창극

-판소리와 동일 주제를 갖는다.

-이야기 속 인물에 배역이 있다.

-관혁악 또는 실내악 반주에 맞추어 노래한다.

-무대배경이 달라진다.

-소리하는 배역 외에도 춤을 추거나 노래하는 엑스트라도 등장한다.

 

2.가야금 병창


-한 사람이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노래하는 연주형태를 말한다.

-노래 가사는 원래는 판소리 중 한 대목 또는 단가(짧은 노래)를 불렀으나,

점차 발달하면서 민요와 창작 곡 등을 사용하고 있다.

->거문고를 연주하면서 노래 부르면 거문고 병창이 된다.

 

3.산조


-기악 독주곡으로 민속악의 대표적인 곡이며, 장구 장단에 맞추어 연주한다.

-김창조에 의해 가야금산조가 가장 먼저 형성되었고,

거문고-해금-아쟁-피리 산조가 뒤를 이어서 만들어졌다.

-악장 순서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가 기본이며, 악장은 조금씩 다르게 구성한다.

-각 산조마다 유파가 있는데, 제목을 붙인 방법은 사람이름++악기명+산조

로 만든다. ex 홍길동류가야금산조

 

* 장단에 대해서는 장구를 설명하며 국악의 장단을 정리한 바 있습니다.

+) 진양조: 진양조의 '질다' = '느리다', 판소리에서 가장 느린 6박 구조의 장단 (3소박6박자) 

+) 중모리: 구음은 <덩 덕 / 쿵 덕더 덕덕 / 쿵쿵덕 / 쿵 덕더 덕덕>, 중중모리와 중모리의 차이점은 중모리가 보통 빠르기라면 중중모리는 조금 더 빠르다.

 

4.풍물놀이(농악)와 사물놀이


(1) 풍물놀이 (사물놀이의 원조)

-국가, 마을, 가정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고, 마을의 두레와 축제를 주관하였다.

* 두레: 농촌 공동노동조직

-웃다리 농악, 호남우도 농악, 호남좌도 농악, 영남 농악 등이 대표적이다.

-구성은 꽹과리, 장구, , / 소고, 잡색/ 농기, 영기 등이다.

* 잡색: 악기 안 다루고 배역, 춤 춤.

* 농기와 영기는 깃발로 영기는 군대 깃발이다. - 진법놀이할 때 쓰이겠죠?

-연행 순서 중 진법놀이가 특징적이다.

-연주방식은 선반(서는 것)으로 연행한다.

 

(2) 사물놀이

-풍물놀이에서 파생된 곡이다.

-공연을 목적으로 한다.

-한 지역의 가락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새로운 가락을 창작하기도 한다.

-연주는 꽹과리, 장구, 북, 으로 편성한다.

-연주방식은 앉은반, 선반이 가능하다.

 

*

자진모리장단(덩덕쿵덕쿵덕쿵덕)

삼채장단 : 3소박 4박 장단 (자진모리장단과 같다.)

별달거리는 사물놀이 장단에만 있으며 2소박으로 빠름.(덩덕 쿵따 쿵쿵 따쿵 따쿵 따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