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2025 2차 모의고사 얼리버드
💚 임고 2차 현직 멘토링 선착순 접수 중 💚
과학/초등과학

[초3 과학] 지층과 화석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2차 현직 멘토링


지층과 화석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과학)
키워드: 지층, 지층이 만들어지는 과정, 퇴적암, 화석, 화석의 이용

1. 층층이 쌓인 지층


지층: 자갈, 모래, 진흙 등이 쌓여 층을 이루고 있는 것.

<지층이 만들어지는 과정>
자갈, 모래, 진흙 등이 흐르는 물에 의해 운반됨.
→ 자갈, 모래, 진흙 등이 쌓임.
→ 자갈, 모래, 진흙 등이 계속 쌓이면서 먼저 쌓인 층이 눌림.
→ 오랜 시간이 지나면 단단한 지층이 만들어짐. (계속 눌러지기 때문)

항상 똑같은 자갈, 모래, 진흙이 한꺼번에 내려와 똑같은 층이 생기는 것이 아니다.
어떤 때에는 자갈이 많이, 어떤 때에는 모래가 많이, 어떤 때에는 진흙이 많이 쌓이게 된다.
이렇게 층마다 알갱이가 다르게 되고
층마다 알갱이가 다르다보니 줄무늬가 나타난다.

* 지층의 특징
- 지층이 쌓이면서 지층 사이에 층리(줄무늬)가 나타남.
- 자갈, 모래, 진흙 등이 쌓일 때 거의 지표면과 수평으로 쌓임.
- 지층은 지구 내부의 힘을 받아 모양이 변하기도 함.

지층에는 다양한 모양이 있다.
- 수평인 지층: 자갈, 모래, 진흙 등이 수평으로 쌓여 층을 이루고 있는 것.
습곡: 지층이 지구 내부의 힘을 받아 물결 모양으로 휘어진 것

습곡


단층: 지층이 지구 내부의 힘을 받아 위아래로 끊어져 어긋나 한쪽은 올라가고 다른 한쪽은 내려간 것.

단층



* 퇴적물
물이나 바람에 의해 부서지고 운반된 자갈, 모래, 진흙 등이 쌓인 것.

* 퇴적암
퇴적물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

지층에는 여러 종류의 퇴적암들이 층마다 쌓여있음.

왼쪽부터 차례대로 이암, 사암, 역암, 석회암.

Source: 우등생전과 과학 초 (Zum 학습백과)

  이암 사암 역암 석회암
색깔 연한 갈색, 연한 노란색 등 연한 회색 등 진한 회색, 진한 황토색 등 연한 회색, 검은색 등
알갱이의 크기 매우 작다. 모래 알갱이 정도이다. 크고 작은 것이 섞여 있다. 매우 작다.
만졌을 때의 느낌 부드럽다. 약간 거칠다. 다양하다. 부드럽다.
구성 물질 진흙, 갯벌의 흙 모래 자갈, 모래, 진흙 동물의 뼈, 조개 껍데기 등
그 밖의 특징 충격을 주면 덩어리 모양으로 꺠진다. 겉모양은 모가 나고 울퉁불퉁하다. 굵은 자갈이 보인다. 묽은 염산을 떨어뜨리면 거품이 생긴다.
(이 거품은 석회암을 이루는 알갱이가 녹으면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것)

퇴적암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이렇다.
먼저 자갈, 모래, 진흙 등이 쌓이고 눌러져서 알갱이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고 서로 엉겨붙는다.
그렇게 오랜 시간이 지나면 퇴적암이 된다.

 

2. 지층 속 생물의 흔적


* 화석이란?
- 옛날에 살았던 동식물의 몸체나 흔적이 암석이나 지층 속에 남아 있는 것.
- 공룡의 뼈와 같은 생물의 몸체뿐만 아니라 생물의 흔적(발자국 등)도 화석에 포함됨.
- 화석의 종류와 크기는 다양함. (삼엽충 화석, 공룡알 화석, 물고기 화석, 암모나이트 화석, 고사리 화석, 단풍잎 화석, 은행잎 화석, 새 발자국 화석)

* 삼엽충 화석이 만들어지는 과정
1) 바다에 살던 삼엽충이 바닥에 가라앉습니다.
2) 물에 의하여 운반된 퇴적물이 삼엽충 위에 쌓입니다.
3) 퇴적물이 계속 쌓여 오랜 시간이 지나면 삼엽충의 몸체가 화석으로 변합니다.
4) 풍화 작용이나 침식 작용으로 지층이 깎이면서 삼엽충 화석이 지층 위로 드러나게 됩니다.

* 화석의 이용

1) 화석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것
- 옛날에 살았던 동식물의 모양과 특징
- 동식물이 살았던 장소와 그 지역의 환경
예1) 산호 화석 → 그 지역은 옛날 얕고 따뜻한 바다였을 것이다.
예2) 나뭇잎 화석 → 그 지역은 옛날 나무가 자랐던 육지였을 것이다.
예3) 고사리 화석 → 그 지역은 옛날 비교적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곳이었을 것이다.
- 지층의 순서
- 생물의 진화 과정 (옛날의 모습과 오늘날의 모습 비교)

2) 화석 연료
석유나 석탄은 옛날의 생물에서 변한 일종의 화석
- 연탄, 페인트, 고무, 비닐, 플라스틱 등의 물건을 만드는 연료로 쓰임.
- 자동차 연료, 공장의 연료 등으로 이용됨.

[참고]
알지네이트 가루와 물을 더해 반죽을 만들고 반죽 위에 모형을 올려두고 살짝 누른 뒤 기다리면 화석을 만드는 실험을 할 수 있다.
모형을 떼어낸 뒤 굳은 알지네이트에 '석고가루+물' 반죽을 넣고 20분 정도 뒤에 떼어내면 된다.

테크니컬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