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현직 멘토링](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051756/skin/images/2025mentor.png)
지표의 변화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과학)
키워드: 지표의 변화, 흙, 식물이 잘 자라는 흙, 강, 파도, 바닷가
1. 소중한 자원, 흙
* 흙이 만들어지는 과정
= 바위가 잘게 부서지는 과정
바위가 부서지는 원인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서)
- 바위틈에 있는 물이 얼었다(부피 커져서 틈을 벌림) 녹았다(넓혀진 틈으로 또 물이 들어옴) 하면서 바위를 부서뜨림.
- 흐르는 물에 의해 돌끼리 부딪치며 모양이 변함.
- 나무뿌리에 의해 바위가 부서짐. (나무가 자라며 뿌리도 굵어짐. 바위가 부서짐.)
- 빗물에 의해 바위가 녹음.
이러한 원인들로 바위가 부서지는 작용을 풍화작용이라고 부른다.
바위(모암)이 물, 바람, 식물 뿌리 등에 의해 풍화 작용을 겪으면 돌과 모래가 된다.
돌과 모래도 이 원인에 의해 풍화 작용으로 작은 알갱이인 흙이 되는데
흙이 되려면 여기에 유기물이 더해져야 한다. (흙의 생성 작용)
생물은 죽으면 썩고 흙에 섞이는데 이렇게 섞인 것을 유기물이라고 부른다.
이 유기물이 섞여야 식물들이 먹고 살 영양분이 있는 흙이 된다.
이 과정에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흙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 흙의 특징
- 모래가 많이 섞인 흙은 까끌까끌하고 갈색, 반짝이는 알갱이가 있으며 굵은 알갱이가 많고 진흙 알갱이보다 크기가 크다. + 물빠짐이 더 많다.
- 진흙이 많이 섞인 흙은 매우 부드럽구 붉은색, 고운 알갱이가 많으며 알갱이의 크기가 매우 작다. + 물빠짐이 더 적다.
물빠짐을 비교할 때 흙의 종류만 다르게 해야 하고 플라스틱 통의 크기와 높이, 흙의 양, 물의 양, 물을 붓는 빠르기는 같게 해주어야 한다.
- 운동장 흙: 물 위에 뜬 물질(부유물)이 거의 없음.
- 화단 흙: 물 위와 물 속에 여러 가지 물질이 떠 있음. → 생물이 살아가기에 화단 흙이 더 적당하다.
흙에 따라 촉감, 색깔, 알갱이의 종류와 크기, 부유물의 양, 물 빠짐이 다르다.
2. 변화하는 땅
* 흐르는 물에 의한 지표의 변화
흐르는 물의 작용
- 침식 작용: 지표의 바위, 돌, 흙 등이 깎여 나가는 것
- 운반 작용: 침식되어 깎인 것이나 잘게 부서진 알갱이들을 다른 곳으로 옮겨 놓는 것
- 퇴적 작용: 침식되어 깎인 것이나 잘게 부서진 알갱이들이 쌓이는 것
* 빗물에 의한 지표의 변화
흐르는 빗물은 흙을 이동시킨다.
* 강물에 의한 지표의 변화
산에서 내려와 바다로 흐르는 강을 생각해보자.
강은 높은 곳의 상류에서부터 중류, 그리고 하류로 흐른다.
먼저, 상류는 강폭이 좁고 산에서 시작해서 경사가 급하다. 그리고 물의 양은 적지만, 물살이 빠르다. 그래서 v자 모양으로 계속 판다. 그래서 강폭이 계속 좁고 주위의 돌은 경사가 급해서 굴러떨어지거나 그 자리에서 풍화된 그대로 있기에 크고 모가 나있다. 이곳에서는 침식작용이 주로 일어난다.
다음으로, 중류에서는 강폭이 넓어지고 경사가 급하지 않다. 그리고 물길들이 여러 곳에서 만나다 보니 물의 양이 많아진다. 상류의 돌들이 내려오며 서로 부딪히고 깎여 중류에서는 자갈과 모래가 많다. 이곳에서는 침식작용과 퇴적작용이 주로 일어난다.
마지막으로, 하류에서는 강폭이 매우 넓고 경사가 거의 없으며 더욱 많은 물길들이 만나 물의 양이 매우 많다. 그리고 작고 둥근 자갈과 고운 모래가 많다. 이곳에서는 퇴적작용이 주로 일어난다.
* 파도에 의한 지표의 변화
- 해안 절벽, 해안 동굴 → 파도에 의한 침식 작용으로 만들어짐.
- 모래사장 → 파도에 의한 퇴적 작용으로 만들어짐.
이처럼 흐르는 물은 흙을 깎고, 운반하고, 흙을 쌓아 지표의 모습을 변화시킨다.
[Q&A]
Q: 풍화와 침식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풍화는 바위에 대한 개념이고 침식은 지표에 대한 개념입니다. 지표는 바위를 포함해 토양, 침전물까지도 포함하죠.
풍화는 오랜 시간 동안 바위가 잘게 쪼개지며 토양화되는 것!
침식은 지표가 깎이는 것!
'과학 > 초등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3 과학] 지층과 화석 (0) | 2020.07.25 |
---|---|
[초3 과학] 동물의 생활 (조개가 움직인다?!) (1) | 2020.07.24 |
[초3 과학] 동물의 한살이 (곤충은 동물일까?) (10) | 2020.07.24 |
[초3 과학] 자석의 이용 (비둘기 머리에 자석이?!) (0) | 2020.07.23 |
[초3 과학] 우리 생활과 물질 "물체와 물질의 차이는?" (1) | 2020.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