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생활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과학)
키워드: 동물, 생김새, 특징, 분류, 생활 방식, 사는 곳
오늘의 공부와 함께 기초과학을 공부하시는 여러분께 응원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벌써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과학을 마치고 2학기 과학에 들어섰다. (화이팅!!)
1. 주변의 동물 찾아보기
* 동물이란?
- 전체 생물의 2/3 차지함.
- 스스로 양분을 만들 수 없음. → 이동함.
- 대부분 입을 가지고 있음. → 소화기관 발달
- 자극에 대해 즉각적인 반응을 보임.
지구상의 동물은 100만종에 가깝다.
(그렇다면 우리 주위에 왜 동물이 잘 안 보이는 걸까? 그 이유는 동물들은 주변 환경과 비슷한 색이나 모습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동물의 특징을 아는 방법은 관찰하는 것이다.
전체적인 모습부터 부분적인 모습까지 관찰하는 것인데 예를 보자.
나비 - 날개가 크고,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긴 대롱 모양의 입을 뻗어 꿀을 빨아 먹는다.
공벌레 - 몸이 여러 개의 마디로 되어 있다. 건드리면 몸을 공처럼 둥글게 만든다.
개미 - 몸이 검은색이고 세 부분(머리, 가슴, 배)으로 구분된다. 여섯 개의 다리로 이동한다.
개구리 - 눈이 크고 몸은 매끄럽게 생겼다. 다리는 네 개이고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길다.
여기서 좀 더 알아보고 싶다면 분류를 해보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 분류를 하다보면 동물의 특징을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분류 기준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날개가 있는가?
곤충(머리, 가슴, 배로 나누어지고 다리가 6개)인가?
더듬이가 있는가?
이밖에도 다리의 개수, 먹이의 종류, 몸의 크기, 몸 표면의 특징 등으로 동물을 분류할 수도 있다.
2. 사는 곳에 따른 동물의 생활
동물들은 땅이나 물, 하늘과 같은 주변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나름의 방식으로 적응을 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까 생김새나 생활 방식이 달라지게 된다.
* 땅에 사는 동물
땅의 환경
- 땅은 흙으로 덮여 있고, 풀과 나무가 있다.
- 땅은 식물 등의 먹이를 제공한다.
- 땅은 집을 지을 장소와 재료를 제공한다.
땅에 사는 동물의 특징
- 이동 방법: 다리가 있는 동물은 걷거나 뛰어서 이동한다. 다리가 없는 동물은 배를 땅에 대고 기어서 이동한다.
- 공기 중에서 숨을 쉴 수 있다.
땅에 사는 동물의 예
- 고라니: 땅 위에서 산다. 다리가 네 개고 몸이 털로 덮여 있다. 다리로 걷거나 뛰어서 이동한다.
- 지렁이: 땅 속에서 산다. 다리가 없고 몸은 긴 원 통 모양으로 기어서 이동한다.
= 뱀: 땅 위와 땅 속을 오간다. 다리가 없고 몸이 비늘로 덮여 있다. 배를 땅에 대고 기어서 이동한다.
* 물에 사는 동물
물속의 환경
- 물속에서는 숨을 쉬기 힘들다. → 이곳에서 사는 동물들은 숨을 쉬기 위해 특별한 기관이 발달했다.
- 공기 중보다 저항이 심하여 앞으로 나아가기 힘들다.
- 육지에 비하여 온도 변화가 적다.
물에 사는 동물의 특징
- 물속에서 헤엄을 침. → 지느러미, 지느러미처럼 생긴 다리 이용
- 주로 아가미로 물속에서 숨을 쉼.
- 몸의 모양이 유선형으로 된 경우가 많음. (물의 저항을 줄이고 잘 나아갈 수 있다.)
물에 사는 동물의 예
- 붕어: 강물 속에서 산다. 아가미로 숨을 쉬며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헤엄친다. 몸이 유선형이고 비늘로 덮여 있다.
- 왜가리: 강가에서 산다. 날카로운 부리와 긴 목, 긴 다리가 있다. 몸이 깃털로 덮여 있다. 물가에서 물고기, 개구리 등을 잡아먹는다.
- 상어: 바닷속에서 살며 아가미로 숨을 쉰다.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헤엄친다. 몸이 유선형이고 비늘로 덮여 있다.
- 조개: 갯벌에서 살며 아가미로 숨을 쉰다. 두 개의 딱딱한 껍데기로 몸을 보호한다. 도끼 모양의 발이 있어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은 조개가 자신의 발을 이용해 움직이는 모습이다.
* 하늘을 나는 동물
하늘의 환경
- 공기 중에 떠오를 수 있어야 한다.
- 공기의 저항을 이기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어야 한다.
하늘을 나는 동물의 특징
- 날개가 있음.
- 몸의 크기에 비해 가벼움.
- 뼈 속이 비어 있고 가벼운 깃털로 덮여 있음.
- 몸의 균형이 잘 맞음.
- 날개를 움직일 수 있는 큰 가슴 근육이 있음.
하늘을 나는 동물의 예
- 새(직박구리)와 하늘다람쥐 모두 하늘을 날 수 있으나 새는 날개가 있고 깃털로 덮여 있고 하늘다람쥐는 날개막이 있고 털로 덮여 있다. 그리고 새는 크기에 비해 몸이 가벼우나 하늘다람쥐는 몸이 무겁고 새는 부리가 있는 반면, 하늘다람쥐는 이빨이 있다. 따라서 새는 멀리 하늘을 날 수 있지만, 하늘다람쥐는 짧은 거리를 날 수 있다. + 새(직박구리)는 꼬리가 없지만, 하늘다람쥐는 긴 꼬리를 가지고 있다.
'과학 > 초등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3 과학] 액체와 기체 (공기 무게를 못 느끼는 이유) (0) | 2020.07.25 |
---|---|
[초3 과학] 지층과 화석 (0) | 2020.07.25 |
[초3 과학] 지표의 변화 (풍화, 침식 차이) (0) | 2020.07.24 |
[초3 과학] 동물의 한살이 (곤충은 동물일까?) (10) | 2020.07.24 |
[초3 과학] 자석의 이용 (비둘기 머리에 자석이?!) (0) | 2020.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