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암기 프로그램

초등임용 국어 내체표 박스 퀴즈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초등임용 국어 내체표 박스 퀴즈입니다.

 

 

📄 초등임용 국어 내체표 박스 퀴즈

Ⅰ. 2022 개정 국어 내용체계표

Ⅱ. 2015 개정 국어 내용체계표

 

⚙️ 초등임용 암기 프로그램

전체 암기 프로그램

 

📄 초등임용 교육과정 원문 암기펜

1. 인스타그램 @tech_imgo 

2. 테크니컬 카페 

 

 

Ⅰ. 2022 개정 국어 내체표 암기 프로그램


핵심 아이디어는 단어 수준에서 암기하고,

범주는 통암기하면 됩니다.

 

1. 듣기・말하기 내용체계표 (2022 개정)

핵심 아이디어 ⋅듣기⋅말하기는 언어, 준언어, 비언어, 매체 등을 활용하여 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주고받는 행위이다.
⋅화자와 청자는 상황 맥락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형의 담화를 듣고 말한다.
⋅화자와 청자는 의사소통 과정에 협력적으로 참여하고 듣기⋅말하기 과정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전략을 사용하여 듣고 말한다.
⋅화자와 청자는 듣기⋅말하기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담화 공동체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상호 존중하고 공감하는 소통 문화를 만들어 간다.
범주

 

2. 읽기 내용체계표 (2022 개정)

핵심 아이디어 ⋅읽기는 독자가 자신의 배경지식이나 경험을 활용하여 언어를 비롯한 다양한 기호매체로 표현된 글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행위이다.
⋅독자는 다양한 상황 맥락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자신의 읽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형의 글을 읽는다.
⋅독자는 읽기 과정을 점검⋅조정하며 읽기 과정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글을 읽는다.
⋅독자는 읽기 경험을 통해 읽기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형성하고 삶과 공동체의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체 구성원과 함께 독서를 통해 소통함으로써 사회적 독서 문화를 만들어 간다.
범주

 

3. 쓰기 내용체계표 (2022 개정)

핵심 아이디어 ⋅쓰기는 언어를 비롯한 다양한 기호매체를 활용하여 인간의 생각과 감정을 글로 표현함으로써 의미를 구성하는 행위이다.
⋅필자는 상황 맥락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자신의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형의 글을 쓴다.
⋅필자는 쓰기 과정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절한 쓰기 전략을 사용하여 글을 쓴다.
⋅필자는 쓰기 경험을 통해 언어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쓰기 윤리를 갖추어 독자와 소통함으로써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를 만들어 간다.
범주

 

4. 문법 내용체계표 (2022 개정)

핵심 아이디어 ⋅문법은 국어의 형식과 내용을 이루는 틀로서 규칙과 원리로 구성⋅운영되며, 문법 탐구는 문법에 대해 사고하는 활동으로 국어에 대한 총체적 앎을 이끈다.
⋅국어는 체계와 구조를 갖춘 의미 생성 자원이자, 사회적으로 구성된 관습적 규약이며, 공동체의 사고와 가치를 표상하는 문화적 산물이다.
⋅국어 자료는 다양한 맥락에서 만들어지는 의사소통의 결과물로서, 국어 현상을 파악하고 국어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문법 탐구의 대상이다.
⋅국어 사용자는 일상생활에서 국어 현상과 국어 문제를 탐구하고 성찰하면서 언어 주체로서의 정체성과 국어 의식을 형성한다.
범주

 

5. 문학 내용체계표 (2022 개정)

핵심 아이디어 ⋅문학은 인간의 삶을 언어로 형상화한 작품을 통해 즐거움과 깨달음을 얻고 타자와 소통하는 행위이다.
⋅문학 작품을 통한 소통은 작품의 갈래, 작가와 독자, 사회와 문화, 문학사의 영향 등을 고려하며 이루어진다.
⋅문학 수용⋅생산 능력은 문학의 해석, 감상, 비평, 창작 활동을 통해 향상된다.
⋅인간은 문학을 향유하면서 자아를 성찰하고 타자를 이해하며 공동체의 일원으로 성장한다.
범주

 

6. 매체 내용체계표 (2022 개정)

'매체'는 2022 개정에서 신설된 영역이죠.

출제될 여지가 있습니다.

핵심 아이디어 ⋅매체는 소통을 매개하는 도구, 기술, 환경으로 당대 사회의 소통 방식과 소통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매체 이용자는 매체 자료의 주체적인 수용생산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적 의미 구성 과정에 관여한다.
⋅매체 이용자는 매체 및 매체 소통의 영향력에 대한 이해와 자신과 타인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건강한 소통 공동체를 형성한다.
범주

 

 

Ⅱ.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체표 박스 퀴즈


[📕 테크니컬 미니북 2501판 pp. 163-165]

2025 초등임용(24년 11월 시행) 수험생만 해당되며,

(26~ 초등임용 수험생은 only 22 개정)

핵심 개념, 기능을 암기하시면 됩니다.

 

1. 듣기・말하기 내용체계표 (2015 개정)

핵심 개념 학년(군)별 내용 요소 기능
5∼6학년
듣기・말하기의 본질 구어 의사소통
목적에 따른 담화의 유형
∙정보 전달
∙설득
∙친교・정서 표현
듣기・말하기와 매체
토의[의견조정]
토론[절차와 규칙, 근거]
발표[매체활용]
듣기・말하기의 구성 요소
∙화자・청자・맥락
듣기・말하기의 과정
듣기・말하기의 전략
∙표현 전략
∙상위 인지 전략
체계적 내용 구성
추론하며 듣기
듣기・말하기의 태도
∙듣기・말하기의 윤리
∙공감적 소통의 생활화
∙공감하며 듣기

 

2. 읽기 내용체계표 (2015 개정)

핵심 개념 학년(군)별 내용 요소 기능
5∼6학년
읽기의 본질 의미 구성 과정
목적에 따른 글의 유형
∙정보 전달
∙설득
∙친교・정서 표현
읽기와 매체
정보 전달, 설득, 친교 및 정서 표현
사회문화적 화제
글과 매체
읽기의 구성 요소
∙독자・글・맥락
읽기의 과정
읽기의 방법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창의적 이해
∙읽기 과정의 점검
내용 요약[글의 구조]
주장이나 주제 파악
내용의 타당성 평가
표현의 적절성 평가
매체 읽기 방법의 적용
읽기의 태도
∙읽기 흥미
∙읽기의 생활화
읽기 습관 점검하기

 

3. 쓰기 내용체계표 (2015 개정)

핵심 개념 학년(군)별 내용 요소 기능
5∼6학년
쓰기의 본질 의미 구성 과정
목적에 따른 글의 유형
∙정보 전달
∙설득
∙친교・정서 표현
쓰기와 매체
설명하는 글[목적과 대상, 형식과 자료]
주장하는 글[적절한 근거와 표현]
체험에 대한 감상을 표현한 글
쓰기의 구성 요소
∙필자・글・맥락
쓰기의 과정
쓰기의 전략
∙과정별 전략
∙상위 인지 전략
목적주제를 고려한 내용과 매체 선정
쓰기의 태도
∙쓰기 흥미
∙쓰기 윤리
∙쓰기의 생활화
독자의 존중과 배려

 

4. 문법 내용체계표 (2015 개정)

핵심 개념 학년(군)별 내용 요소 기능
5∼6학년
국어의 본질 사고와 의사소통의 수단
국어 구조의 탐구와 활용
∙음운
∙단어
∙문장
∙담화
낱말 확장 방법
문장 성분과 호응
국어 규범과 국어생활
∙발음과 표기
∙어휘 사용
∙문장・담화의 사용
상황에 따른 낱말의 의미
관용 표현
국어에 대한 태도
∙국어 사랑
∙국어 의식
바른 국어 사용

 

5. 문학 내용체계표 (2015 개정)

핵심 개념 학년(군)별 내용 요소 기능
5∼6학년
‣문학의 본질 가치 있는 내용의 언어적 표현
문학의 갈래와 역사
∙서정
∙서사
∙극
∙교술
문학과 매체
노래,
이야기, 소설
문학의 수용과 생산
∙작품의 내용・형식・표현
∙작품의 맥락
∙작가와 독자
작품 속 세계와 현실 세계의 비교
비유적 표현의 특성과 효과
일상 경험의 극화
작품의 이해와 소통
문학에 대한 태도
∙자아 성찰
∙타자의 이해와 소통
∙문학의 생활화
작품의 가치 내면화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