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배움노트[1차]

사회 시민성 기능 고급사고력 - 바, 바스, 셔미스 유형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사회 기본이론

- 시민성

- 고급사고력

- 사회 교과역량 vs 고급사고력 vs 시민성 기능 비교

- 사회과 본질에 대한 유형(바, 바스, 셔미스) : 시민성 전달 모형, 사회과학 모형, 반성적 탐구 모형

- 사회과 내용 구성 원리

 

1. 시민성


시민성은 사회과의 궁극적 목표입니다.

시민성은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과 결정을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 능력으르 의미합니다.

 

시민성의 구성 요소에는 지식, 기능, 가치 태도가 있습니다.

지식에는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 그리고 일반화가 있습니다.

개념적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은 개개의 사실들을 관찰하여 분류(범주화)를 통해 공통된 성질을 추출하고 명명하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지식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관찰-분류-명명)
일반화
기능 의사결정능력
탐구능력
정보 획득 및 활용 능력
사회참여능력
가치 태도  

 

시민성 기능 중 의사결정능력, 정보획득 및 활용 능력은 사회 교과역량의 문제해결력 및 의사결정력, 정보활용능력에 대응됩니다.

시민성 기능 중 의사결정능력, 탐구능력은 고급사고력의 의사결정능력, 탐구능력과 동일합니다.

 

2. 고급 사고력


사회과에서는 고급사고력이 강조됩니다.

고급사고력이란 불확실하고 불명확한 상황에서 기준을 응용하고 다양한 방안 중에서 선택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사고 기능을 의미합니다. (고급사고력 의미)

고급사고력의 기반이 되는 사고는 반성적 사고입니다.

반성적 사고란 일상의 문제 상황을 현실적으로 파악하고 논리적 경험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증거에 의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사고력을 의미합니다. (반성적 사고)

 

고급 사고력에는 5가지가 있습니다.

탐구능력, 의사결정능력, 창조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메타인지가 그것입니다.

 

고급 사고력의 탐구능력과 의사결정능력은 시민성의 기능에도 동일하게 나옵니다.

한편, 창조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은 사회 교과역량에 동일하게 나옵니다.

 

사회교과역량에는 다음 5가지가 있습니다.

문제해결력 및 의사결정력, 의사소통 및 협업능력,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정보활용능력

 

* 사회 교과 역량 VS 고급사고력 VS 시민성 기능 비교

사회 교과 역량 X5 고급사고력 X5 시민성 기능 X4
① 문제해결력 및 의사결정력
의사소통 및 협업능력
③ 창의적 사고력
④ 비판적 사고력
⑤ 정보 활용 능력
① 의사결정능력
② 탐구능력
③ 창조적 사고력
④ 비판적 사고력

⑤ 메타인지
① 의사결정능력
② 탐구능력
③ 정보 획득 및 활용 능력
④ 사회참여능력

 

※ 창조적 사고력 = 창의적 사고력

 

→ 사회 교과 역량 청킹

창문의 정비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및 의사결정력, 의사소통 및 협업능력, 정보 활용 능력, 비판적 사고력

 

※ 교과별 교과역량 청킹 비교

https://3log2.tistory.com/127

 

초등임용 전과목 교과역량 청킹 정리

초등임용고시 전과목 교과역량 735 청킹 (총 15과목) by 오늘의 공부 티스토리 1. 공자 시리즈 청킹 7과목 : 총론창체 / 통합교과(바.슬.즐) / 국어 / 영어 / 안생(안전한 생활) 2. 창문 시리즈 청킹 3과

3log2.tistory.com

 

 

3. 사회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유형


사회과의 궁극적 목표는 앞서 이야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시민성의 함양입니다.

그런데 이 시민성.

기르고자 하는 시민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 사회과 교육은 다른 양상을 띠게 됩니다.

이를 유형화한 것이 사회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유형입니다.

사회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유형에는 시민성 전달 모형, 사회과학 모형, 반성적 탐구 모형이 있습니다.

다음의 정리는 바, 바스, 셔미스의 분류입니다.

분류 시민성 전달 모형 사회과학 모형 반성적 탐구 모형
교육 목표 애국심이 강한 시민 꼬마 사회과학자 합리적 의사결정자
교육 내용 사회 유지에 필요한 핵심적인 지식과 가치 사회과학적 탐구 방법
사회과학의 개념 및 일반화
학생의 필요와 흥미를 반영한 사회 문제
교육 방법 설명, 해석, 주입, 암기, 반복 등 직접적인 전달 방식 탐구학습 반성적 탐구와 토론
단점 사실의 생략과 왜곡, 과장 등을 통한 교육 내용 미화

기존 사회질서와 문화의 재생산
과학적 탐구력과 행위의 실행 불분명

가치중립적 탐구와 지식은 가치와 관련된 행위 지시가 어려움
의사 결정 능력과 사회적 행위 사이의 연관성 불명확

학생의 흥미에 기초한 교육 내용의 구성이 어려움

 

이외에도, 비판적 사고를 함양할 것을 목표로 하는 사회 비판 모형과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인적 발달 모형이 있습니다.

 

4. 사회과의 내용 구성 원리


① 환경 확대법의 탄력적 적용

필요에 따라 공간적 범위를 넘어서는 내용 구성이 가능하다는 원리입니다.

 

② 주제 중심의 통합적 구성

사회과의 다양한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상호 연관지어 구성하는 원리입니다.

 

③ 교육과정의 지역화

교육과정의 지역화 방법에는 내용의 지역화와 방법의 지역화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내용의 지역화란 학습자가 거주하고 있는 고장이나 지역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방법의 지역화란 사회 현상의 일반적인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소재나 제재로 지역 사회를 활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④ 나선형 교육과정의 원리

👏완독을축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