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현직 멘토링](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051756/skin/images/2025mentor.png)
체육 협동학습모형 : STAD / TGT / TAI / 직소 / 집단 연구
지난 글에 이어 임용 체육 기본이론 모형 중 협동학습 관련 정리입니다.
2021.08.11 - [시험 공부/임용고시] - 체육 직접교수 탐구수업 동료교수모형 개별화수업모형
* 협동학습 VS 소집단학습 차이점
소집단학습) 단순히 4~5명 모여서 함께 학습하는 것
협동학습) 소집단학습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아래의 필수 요소를 반영
① 팀원과의 긍정적인 상호 의존 ← 구성원 간 이질성 O
② 일대일의 발전적인 상호작용 ← 얼굴을 서로 마주보고 심리적인 일체감, 격려
③ 개인의 책무성 / 책임감 ← 1. 과제 분업화 2. 개인 점수 집단 반영
④ 대인관계와 소집단 인간관계 기술
⑤ 팀 반성
또한, 협동학습모형에서는 모든 학생에게 동등한 학습 참여 기회를 보장합니다.
학생 중심의 수업에서 나아가 수업 방법의 민주화를 꾀한 것이죠.
체육과 협동학습모형의 수업전략(과제 구조)에는
학생 팀-성취 배분(STAD), 팀 게임 토너먼트(TGT), 팀-보조 수업(TAI), 직소, 집단 연구의 5가지가 있습니다.
1. 학생 팀-성취 배분(STAD)
* 체육 STAD 모형 단계
① 팀 편성
② 학습 과제 제시 및 1차 연습
③ 1차 평가 및 팀 점수 발표 → 팀 점수만 발표
④ 2차 연습 → 동일한 학습 과제
⑤ 2차 평가 및 팀 점수 발표 → 개인별 점수 발표 X 팀점수(2차 점수 - 1차 점수 = 향상도)만 발표 → 팀내 협동 유발
2. 팀 게임 토너먼트(TGT)
* 체육 팀 게임 토너먼트(TGT) 모형 장점
운동 기능이 낮은 학생들도 자기 팀을 위해 무엇인가를 공헌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체육 팀 게임 토너먼트(TGT) 단계
① 팀 편성
② 학습 과제 제시 및 1차 연습
③ 1차 평가 및 같은 등위끼리 점수 비교
④ 2차 연습
⑤ 2차 평가 및 같은 등위끼리 점수 비교
⑥ 팀 성적 발표
3. 팀-보조 수업(TAI)
체육 TAI는 개별화 학습에 협동 학습을 더한 모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난 정리에서 개별화 학습 모형에 무엇을 사용할 수 있었죠?
유인물(학습지, 학습활동안내지, 학습기록부, 개별 학습지)이나 비디오테이프가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이로써 과제 관련 정보 제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단느 장점을 얻을 수 있었는데,
여기에 협동 학습을 가미한 TAI는 어떤 단계로 이루어져 있을까요ㅛ?
* 체육 TAI 팀-보조 수업 단계
① 팀 편성
② 수행 기준 및 팀별 학습 과제 제시 → 과제는 쉬운 것에서부터 어려운 단계로 나누어 제시합니다.
③ 팀별 과제 수행 → 혼자 또는 다른 팀원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과제 수행
④ 과제 완수 체크 및 다음 과제로 이동
⑤ 평가 → 팀별 과제 수행 정도 또는 개인별 향상 점수로 평가합니다.
* 체육 STAD / TGT / TAI 단계 비교
STAD X5 | TGT X6 | TAI X5 |
① 팀 편성 ② 학습 과제 제시 및 1차 연습 ③ 1차 평가 및 팀 점수 발표 ④ 2차 연습 ⑤ 2차 평가 및 팀 점수 발표 |
① 팀 편성 ② 학습 과제 제시 및 1차 연습 ③ 1차 평가 및 같은 등위끼리 점수 비교 ④ 2차 연습 ⑤ 2차 평가 및 같은 등위끼리 점수 비교 ⑥ 팀 성적 발표 |
① 팀 편성 ② 수행 기준 및 팀별 학습 과제 제시 ③ 팀별 과제 수행 ④ 과제 완수 체크 및 다음 과제로 이동 ⑤ 평가 |
TGT에서는 최종적인 팀 성적을 발표하는 단계가 따로 빠져서 6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TGT는 STAD와 유사한 단계로 이루어져 있지만, 1등은 1등끼리, 2등은 2등끼리 이렇게 같은 등위끼리 점수를 비교한다는 게 특징적입니다.
한편, TAI에서는 과제를 제시하고 수행하여, 완수 체크 후 이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4. 직소
체육에서의 직소 모형은 두 가지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방법 1) 팀별 협동학습
방법 2) 팀내 협동학습 : 모집단 - 전문가 - 모집단 → 우리에게 익숙한 직소 모형은 팀내 협동학습입니다.
5. 집단 연구
집단 프로젝트 수행
학습 과정에 학생들이 협동하고 학습 결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팀을 사용합니다.
'초등임용 > 배움노트[1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 무스카모스톤 수업 스펙트럼 과제식 학습 책임감모형 (0) | 2021.08.12 |
---|---|
체육 이해중심게임 모형 스포츠교육 모형 하나로 수업모형 (0) | 2021.08.12 |
체육 직접교수 탐구수업 동료교수모형 개별화수업모형 (0) | 2021.08.11 |
실과 각론 뽀개기 바느질 대바늘 코바늘 십자수 (0) | 2021.08.09 |
초등임용 실과 모형 뽀개기 정리 - 실천적 기술적 문제해결 등 (0) | 202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