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육 교수 전략
- 체육과 평가방법
임용 기본이론 - 교과교육론에 해당하는 파트입니다.
<체육 기본이론 파트>
1. 체육 효과적인 교수 전략
① 학습 과제 단계화하기
② 피드백 제공하기
③ 비과제 행동 최소화하기
④ 시범 보이기
⑤ 정보 제공하기
체육 교수 전략에 대한 각각의 코멘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학습 과제 단계화하기
시작형 과제 | 확장형 과제 | 세련형 과제 | 적용형 과제 |
ex) 베트 짧게 잡고 정확하게 베트 길게 잡고 멀리 치기 |
운동 기능의 질적 측면 (폼, 느낌) ex) 허리 회전하여 치기 |
실제 게임 상황 |
적용형 과제는 지난 모형 정리 중 이해중심게임모형의 마지막 단계인 '실제 게임 수행'과 관련이 있습니다.
② 피드백 제공하기
- 짧고 간결하게
- 내용이 있고 구체적인 피드백
- 두, 세 가지 요점 X
- 성과만 짚기보다 기능을 올바르게 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피드백
- 피드백 내면화 시간 제공
③ 비과제 행동 최소화하기
- 벽 등지기 (수업 장소 경계지역에서 학생들 관찰하기)
- 근접 통제 (= 밀착 통제)
- 선별적 무시
- 여세 유지
- 상황 이해
- 동시 처리
- 긍정적 지적
- 토큰 수집
- 타임 아웃 (참여는 못해도 수업 장면을 볼 수 있는 곳으로 학생 보내기)
④ 시범 보이기
* 시범 의미 → 정보를 말로만 설명하지 않고 움직임을 통해 보여주는 것
* 교사의 시범, 동료의 시범, 시청각 자료 활용 가능
- 시범을 보일 때 고려해야 할 사항
A) 정확한 시범
B) 전체와 부분 → 전체적인 동작 시연 → 부분적인 동작 나누어서 보여주기
C) 시범의 위치 ex) 학생들이 해를 등지고 교사를 바라보게 한다. <2021 초등임용 출제>
D) 정상 속도와 느린 속도 → 정상 속도로 시범 보이고 천천히 시범을 보입니다.
시범 보이기는 체육 직접 교수 모형과 관련하여 출제될 수 있습니다.
체육 직접교수 탐구수업 동료교수모형 개별화수업모형
임용 체육 수업 모형 정리 (1) 직접 교수 모형 / 탐구 수업 모형 / 동료 교수 모형 / 개별화 수업 모형 협동 학습 모형(STAD, TGT, TAI, 직소, 집단연구) 이해 중심 게임 수업 모형 / 스포츠 교육 모형 하
3log2.tistory.com
직접교수모형에서는 연습 - 교정 - 연습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에서는 게임 - 기능 - 게임
이렇게 구조가 비슷하다보니, 두 모형의 단계를 잠깐 복습해볼까요?
직접교수모형 | 이해중심게임 수업모형 |
① 전시 과제 복습 ② 새로운 과제 제시 ③ 초기 과제 연습 ④ 피드백 및 교정 ⑤ 독자적인 연습 ⑥ 본시 학습 복습 |
① 게임 소개 ② 게임 이해 ③ 전술 이해 ④ 의사 결정 ⑤ 기능 연습 ⑥ 실제 게임 수행 |
⑤ 정보 제공하기
- 한 번에 하나의 정보 제공하기
- 간결하게 정보 제시하기
- 경구 활용 → 경구란 언어적 교수 단서, 연상 단어를 의미합니다. 피드백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관찰을 바탕으로 한 정보 제공
2. 체육과 평가 방법
① 실기 시험 → 전통적 실기시험 OR 수행 평가에서의 실기 시험(실제성 확보)
② 관찰법 → 비디오 녹화 분석도 포함합니다.
③ 지필검사
④ 자기평가보고서법
⑤ 동료평가보고서
⑥ 학습일지
⑦ 체크리스트
⑧ 평정척도법
⑨ 포트폴리오
'초등임용 > 배움노트[1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쾨펜의 기후 구분 기준 1차 2,3차 기준 약어 정리 (0) | 2021.08.15 |
---|---|
체육 영역형 경쟁 움직임 표현 - 움직임언어, 표현요소 (0) | 2021.08.12 |
체육 무스카모스톤 수업 스펙트럼 과제식 학습 책임감모형 (0) | 2021.08.12 |
체육 이해중심게임 모형 스포츠교육 모형 하나로 수업모형 (0) | 2021.08.12 |
체육 팀게임토너먼트 TGT 팀보조수업 TAI 직소 STAD (0)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