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초등임용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범위
- 2022 개정 교육과정 주요 내용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범위로 할 것으로 예상되는 2023 초등임용고시가 끝난다면
어떤 교육과정으로 시험이 출제될까요?
2024 초등임용부터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함께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하여 시험이 출제됩니다.
초등임용고시 2022 개정교육과정 적용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즉, 아래 적용 범위를 제외하면 2015 개정교육과정을 공부하셔야 합니다.
(1) 2023 초등임용 (2022년 11월) - 19학번 현역
2015 개정교육과정 기반 출제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확정된 것은 아님!)
+) 수학 / 사회 / 과학 지도서가 기존 국정 지도서에서 검정 지도서 체제로 바뀝니다.
(2) 2024 초등임용 (2023년 11월) - 20학번 현역
총론, 창체 파트 적용
1~2학년 적용
(3) 2025 초등임용 (2024년 11월) - 21학번 현역
3~4학년 추가 적용
(4) 2026 초등임용 (2025년 11월) - 22학번 현역
5~6학년 추가 적용 → 2022 교육과정 전체 적용
사실, 2021년 11월 시행된 2022 초등임용 시험을 비롯해 2021, 2020 임용에서 교육과정은 역량, 내체표(내용체계표)를 제외하면 달달 암기하는 것이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출제되었습니다. (바꿔 말하면, 역량과 내체표는 외우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이외의 범위는 가벼운 마음으로 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다룰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논의에서 학년군별 성취기준에 대한 문제 의식이 나타나는데요, 교육과정 전문가들의 논의를 보면, '1~2학년 성취기준은 이것이고, 3~4학년 성취기준은 이것이다. ' 이렇게 달달 통암기하는 것의 출제 확률이 떨어짐을 캐치해서 가볍게 공부하신 분도 계실 것입니다.
특정 인강 커리큘럼을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것은 초등임용고시의 그 해 출제 스타일에 따라 고득점을 받기 어려워질 수 있기에 '넓게 여러 번 보는 과정', 그리고 현장의 분위기에 관심을 가지며 능동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차피 수동적으로 암기하는 것들의 9할 이상이 시험에 출제되지 않습니다. 뉴스를 보는 것이 시간을 까먹는 일이 아닌 것이죠.)
그럼에도 놓아서는 안 되는 것이 '총론, 창체' 파트입니다.
통암기 요구 추세는 아니지만, 어쨌든 '공문서'를 보는 것이 '총론, 창체' 과목을 준비하는 유일한 방법이므로, 자주 보는 것이 좋기에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창체' 파트가 반영되는 2024 초등임용부터 눈 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2022 개정교육과정의 총론은 조만간 공표될 예정이며, 발표 후에 수험생 분들이 준비할 수 있게끔 자료를 제작하겠습니다.
우선, 현 시점에서 2022 개정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이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지난달 공청회 내용을 바탕으로 알아보겠습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내용적 측면에서 AI 및 기후 환경 교육을,
방법적 측면에서 학교의 자율성을 2015 교육과정보다 더 확대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에 대해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내용적 변화 - AI 기초 소양, 기후·환경 교육 강화
디지털 리터러시 기초 소양: AI 소양, 문화 소양, 과학 소양, 3Rs(읽기, 쓰기, 계산)
(2) 방법적 변화 - 학교 자율성 확대, 통합교육, 중복 내용 삭제
- 단위학교 자율성 확대 → 창체 축소(68→34시간) -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르면, 교과(군)별 20% 시수 증감하여 편성 운영 가능하다는 내용을 창의적 체험활동에도 적용 가능하게 수정
- 교육과정 학년군 적용 방식 → 학년 단위 전환 -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교과별 성취기준은 1~2학년군, 3~4학년군, 5~6학년군 이렇게 학년군 단위로 제시되어 있으나, 학년 단위 성취기준 제시 방안 필요하다는 안
- 초등 입학초기적응활동 내용 삭제 → 창체 + 한글 문해력 강화 교육(국어 34시간 증가) 전환
- 안생(안전한 생활) 삭제 → 건생(건강한 생활) 신설 or 바생, 슬생에 통합하는 방안 제안
- 초중통합교육 → 초중학 교사간 교차지도 음미체(음악, 미술, 체육)부터 단계적 확대
- 초중등 전환기 교육과정 확대 → 6학년 2학기 전환기 교육 실시
현장에서의 적용은 초등학생의 경우, 2024년부터 2022에 근거해 배우기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아직 저물지 않았습니다.
- 초등임용고시 초시생 분께 추천하는 글
2021.01.02 - [시험 공부/초등임용1차] - 초등임용 합격선 보는 법, 과목, 1차 2차 총정리
2021.08.03 - [시험 공부/초등임용1차] - 초등임용 범위 공부 순서 교육과정 용어 - 밑교 뒷교 평방유
'초등임용 > 배움노트[1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임용 미술 아이스너 미술 흐름 복습노트 (2) | 2022.01.18 |
---|---|
2022 초등임용 1차 합격 커트라인 전 지역 정리 (2) | 2021.12.16 |
초등임용 사회 스제트 요소표 뽀개기 3탄 (0) | 2021.10.13 |
초등임용 체육 뽀개기 기본이론 각론 전범위 2탄 (0) | 2021.09.06 |
국악 율명 단소 소금 운지법 음이름 (음악 각론) (0) | 2021.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