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배움노트[1차]

초등임용 국어 지도서 총론 역량 단원 체제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초등임용 국어 기본이론 지총 역량 단원 구성 체제

 

지도서 총론 두 번째 퀴즈 및 정리입니다.

2022.01.31 - [시험 공부/초등임용1차] - 초등임용 국어 비고츠키 공간 모형 발달 특성

 

초등임용 국어 비고츠키 공간 모형 발달 특성

초등임용 국어 기본 비고츠키 공간 모형 + 국어 능력 발달 특성 등 지총 첫 번째 퀴즈입니다. 굿맨, 핼리데이 등 지엽적인 내용도 퀴즈를 통해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가장 최근 초등임용에서 어

3log2.tistory.com

 

초등임용 국어 지도서 총론 매일복습 퀴즈


1. 상호 작용성의 원리에서 무엇을 촉진?

협력적 상호 작용

or 의사소통

2. 국어는 원리 학습 - 적용 학습 순으로 구성된다. T/F

F (탈맥락적임)

3. 실천 학습의 상황 맥락?

지금, 여기

4. 자신 알아보기의 교육과정 역량명칭?

자기 성찰·계발 역량

5. 다르게 생각하기의 교육과정 역량 명칭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6. 자료·정보 활용 역량의 지도서 역량 명칭

자료 찾아보기

7. 독서 지도 모형 단계

독서 준비 - 독서 - 독서 후

8. 국어 교과서에서 학습량 적정화한 방법

(교육부 기준 수업 시수) - 5%

9. 기본 학습에서 익히는 것

지식, 기능, 태도

10. 기본 학습 연계 활동 - ( )이 있는 읽을 거리 제공

상호 텍스트성

 

2. 국어과 교수·학습 원리 및 유의점


1) 국어과 교수·학습 원리
① 개별성: 학습자의 흥미, 수준, 개성 고려
② 상호 작용성: 의사소통 촉진
③ 상황 관련성: 실제적 맥락 제공
④ 문화 관련성: 고유의 예절, 관습
⑤ 총체성: 영역 간 통합, 다른 교과 내용과 통합

2) 국어과 교수·학습 유의점
- 교수는 학습을 위해 존재한다. → 교사 표정까지도 학습을 전제
- 단원: 준비 학습 - 기본 학습 - 실천 학습
- 기본 학습 → 습득 중심 학습 + 활용·수행 중심 학습
- 실천 학습 → '지금', '여기' 구체적 상황 맥락 제공
- 이해 학습과 적용 학습 틀 X (탈맥락화)

 

3. 국어 교과서 체제 및 특징


* 지도서 교과 역량
①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 마음 나누기

② 자기 성찰·계발 역량 = 자신 알아보기

③ 의사소통 역량 = 함께 이야기하기

④ 자료·정보 활용 역량 = 자료 찾아보기

⑤ 문화 향유 역량 = 누리며 즐기기

⑥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 다르게 생각하기

* 국어 교과서 개발 방향
1) 교과 역량 함양
2) 자기 주도 학습 능력 증진: 지식, 개념, 방법 제공
3) 학습량 적정화: 교과서 분량 최소화
4) 창의성과 인성 함양
5) 과정 중심 언어 학습
6) 실제 언어생활 반영
7) 통합적 언어 활동 강조: 단원 = 2개 이상 영역 성취 기준 통합 구성
8) 독서 교육 강조: 한 학기 한 권 읽기 반영
9) 연극 교육 강조: 단원은 5-2부터, 기초 몸짓 활동과 언어는 5-1부터
10) 학습자 질문 생성 & 해결 강조: 질문 유형(지도서 부록,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2022.01.24 - [시험 공부/초등임용1차] - 초등임용 국어 질문 유형 존슨 피어슨 래피얼

 

초등임용 국어 질문 유형 존슨 피어슨 래피얼

초등임용 국어 질문 유형 래피얼 / 존슨과 피어슨 매일복습 정리 초등 5~6학년군 지도서 부록 퀴즈 1. 사고 수준 따른 질문 유형 사실 추론 비판 감상 2. 래피얼 질문 유형 바로 거기에, 생각하고

3log2.tistory.com


11) 텍스트 생산 & 수용 강조

 

4.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체제


1) 준비 학습
단원 도입, 단워 학습 준비
배경지식 확인, 활성화
출발점 이해(자기 점검 질문)

2) 기본 학습
지식, 기능, 태도 익히기
연역식 학습: 지식, 원리 이해 후 적용
귀납식 학습: 다양한 경험, 자료 → 원리 터득

3) 실천 학습
실제적 국어 생활에서 심화, 확장
한 편의 텍스트 이해, 산출
통합 활동, 프로젝트 학습, 과정 중심 학습 강조
말하기, 쓰기) 내용 생성 - 내용 조직 - 표현 - 수정
듣기, 읽기) ~ 전 활동 - ~ 활동 - ~ 후 활동

* 활동 구성 체제: 기본 학습 연계 활동, 기초 다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