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

장조와 단조 차이 - 음계(장음계, 단음계, 화성단음계), 조표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장조와 단조의 차이(구별하는 법), 음계(장음계, 단음계, 화성단음계)에 대한 개념입니다.

관련된 필수 개념인 온음과 반음, 나란한 조와 조표, 조성에 대해서도 정리하였습니다.

공부하다 잘 이해가 안 가는 건 과제헬퍼 검색!

 

1. 음계(scale)란?        


      -한 옥타브 안에서 음을 정렬하는 방법 
      -음악 작품이 만들어질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 
         --음계에 따라 악곡의 성격이나 스타일 확연히 달라져  
         --밝고 힘차게, 슬프고 어둡게, 신비감 이나 민족적 정취 흐르게 
         --한 악곡의 선율 결정짓는 중대한 요소로 가장 먼저 고려되는 음 재료 
      -동서양을 통해 또 각 시대, 지역, 민족에 따라 응용된 수없이 많은 음계 존재   

한 옥타브 안에 있는 음들의 정렬 방법은 다양        
      -5음으로 구성되는 5음 음계     
         --한국의 평조(솔-라-도-레-미)와 계면조(라-도-레-미-솔)   
         --동양 음계, 동서 막론한 민속 음악에 사용   
    
     -7음 음계(온음계) 멜로디   
         --7개 음으로 구성, 반음과 온음이 섞여있는 음계 (장음계, 단음계)             
         --서양 음악의 근간,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여지고 있음 
           
     -그 외 12음 음계,  집시 음계(헝가리, 스페인), 블루 음계 등 등       


2. 온음과 반음, 장음계와 단음계


온음: 인접한 흰 건반 간의 거리 
          (예외) 미-파, 시-도   
반음:  인접한 흰 건반과 검은 건반간의 거리
            미-파, 시-도  

장음계 (계이름: 도레미파솔라시도)
음의 배열: 3-4, 7-8 반음, 나머지 온음

단음계 (계이름: 라시도레미파솔라)
음의 배열: 2-3, 5-6 반음, 나머지 온음

화성스런 단음계
자연스런 단음계에서 제7음 반음 올림 (조표에 반영 x)
(자연)단음계의 구조 변화 시켜 으뜸음으로 지향하는 힘 부여 
      -자연스런 단음계(natural minor)의 구조 제7음이 으뜸음 지향 약해 
     -제7-8음 반음 관계로 만들어 (제6-7음 온음+반음)        
      -조성음악의 핵심이론 “이끈음은 으뜸음으로 해결!” 조건 충족


3. 나란한 조 (장조와 단조)


* 화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장음계와 단음계를 이해해야 한다.
다장조 - 가단조 → 이 둘은 아무런 변화표가 필요하지 않음.
사장조 - 마단조
라장조 - 나단조
가장조 - 올림바단조
바장조 - 라단조
내림나장조 - 사단조
내림마장조 - 다단조

나란한 조는 변화표가 붙는 음이 같고 개수도 같다.


4. 조표(key signature)란?


“#” 이나 “b” 이 어떤 질서에 의해 보표 위에서 
   음자리표 다음에 놓여질 때 
조가 바뀌지 않는 한, 곡이 끝날 때까지, 해당되는 
   모든 음에 적용되는 변화표 
 * 다장조나 가단조는 변화표가 필요 없는 조표 (조표가 없는 게 아님)
 * 올림표와 내림표가 섞인 조표는 없다.

- 조표 붙는 순서
올림표: 파도솔레라미시
내림표: 시미라레솔도파

※임시표(accidentals)란? 
     -곡이 진행되는 중간에 사용되는 변화표로서, 같은 마디 내 같은 음에만 적용되는 변화표 


5. 장조 vs 단조 구분하기


음정: 음과 음 사이의 거리
같은 음일 때는 1도(도도), 이웃한 음일 때 2도(도레, 도시)
나란한 조의 으뜸음은 3도 간격으로 차이가 남. 
장조의 으뜸음에서 3도를 내리면 단조의 으뜸음이 나온다.

- 조표 보고 으뜸음 찾기
올림표: 올림표에서 반음 올리면 장조의 으뜸음. 그 음에서 3음 내리면 단조의 으뜸음.
내림표: 내림표 1개일 때는 바장조/라단조 (암기), 내림표 2개부터는 끝에서 두 번째 내림표 자리가 장조의 으뜸음, 거기서 3도 내리면 단조의 으뜸음


6. 조성(Tonalty)이란?


어떤 음계를 사용? (장음계? 단음계?)    
     - ‘장조’ (장음계 사용) 
     - ‘단조’ (단음계 사용) 
어떤 음을 으뜸음(제1음)으로 사용?  

 예) ‘다장조(C major)’란?  
       -다(C)음을 으뜸음으로  
       -장음계를 사용 

곡이 끝날 때는 으뜸음으로 끝남. (긴장 이완 목적)
→ 노래의 마지막 음을 보고 장조인지 단조인지 파악하면 됨.


[참고] 주요 제재곡의 조성 파악하기


종달새의 하루 다장조
꽃씨 다장조
가을들판 다장조
기차를 타고 사장조
산마루에서 내림나단조 - 플랫 2개
별 보며 달 보며 라단조 - 플랫 1개
별빛 눈망울 가단조 (화성스런 단음계)
아기염소 바장조 바단조 바장조
미뉴에트 다장조 다단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