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악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음악요소 및 개념지도 영역 역사적 배경
음악요소 및 개념지도 영역은 4차(1982년) 시기에 신설( ‘기본'영역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교육사상에 관심과 수용
--학문구조중심주의, 포괄적 음악교육론 등
(이전에는 음악의 활동-노래 부르기, 감상하기, 창작하기 등 기능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 새로운 영역이 신설되면서 음악의 본질 원리에 대해 다룸.)
-근본정신에 바탕 음악과 교육과정에 도입
--음악의 본질적인 원리 접근 방법 모색
--음악의 구성요소와 기본 개념들을 추출 ‘기본’ 능력으로 분류
※7대 요소: 리듬, 가락, 화음, 형식, 음색, 셈여림, 빠르기
--기존 영역과 대별하여 ’기본’이라는 명칭의 영역 신설
※3차(1972): 가창,기악,창작,감상 -> 4차(1981): 기본, 표현, 감상
6차 이후(1992~ ) 영역의 명칭 변경(‘이해’ 영역)
-1992년 6차 시기 부터 2007 교육과정까지 지속
2009년 교육과정 이후 제시방식 변경(【 음악요소와개념체계표 】)
-기존 교육과정에서 활동과 분리되어 이론위주 학습이 되는 단점 보완
-음악요소와 개념의 정확한 의미 파악 ‘표현’ ‘감상‘ 영역과 통합 지도토록 유의
1차 (1955) |
2차 (1963) |
3차 (1973) |
4차 (1982) |
5차 (1987) |
6차 (1992) |
7차 (1998) |
2007 |
2009 |
2015 (현행) |
가창 기악 감상 창작 생활화 |
가창 기악 창작 감상 |
가창 기악 창작 감상 |
기본 표현 (가창+기악+창작 통합됨) 감상 |
표현 감상 |
이해 표현 감상 |
이해 활동 |
활동 이해 생활화 |
표현 감상 생활화 *【음악요소및개념체계표】 |
표현 감상 생활화 *【음악요소및개념체계표】 |
음악요소는 4차 교육과정부터 현행(2015)까지 동일함.
7대 음악요소 - 소리를 만드는 기본적인 재료들
음악요소 |
정의 |
리듬 |
-“시간의 예술”이 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요소. -길고 짧은 음들의 특별한 배열을 통해 음악적 의미 전달 |
가락 |
-높고 낮은 음들의 횡적 구성에 따라 생겨나는 선적 구조 -다양한 감성 불러일으키며 가장 쉽게 기억되어지는 요소 |
화음 |
-서로 다른 높이의 2개 이상의 음이 수직적으로 동시에 울릴 때 생성 -음악에 풍부한 입체감 부여 |
형식 |
-악곡 구성의 원리와 그에 따라 생성된 악곡의 형태 |
빠르기 |
-다양한 빠르기 사용 음악의 주요한 표현적 요소 (매우 느리게 ~ 매우 빠르게) |
셈여림 |
-다양한 셈여림 사용 음악의 주요한 표현적 요소(매우 여리게 ~ 매우 세게) |
음색 |
-연주 매체(목소리나 악기)의 고유한 색깔
|
2015 음악과 교육과정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
2015 음악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음악요소와 개념지도 관련)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통해 음악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이해하0고, 악곡의 특징을 목소리, 악기, 신체, 그림 등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실음을 통해 음악 요소와 개념을 구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개념 지도의 중요한 원칙)
공부하다 모르는 건 과제헬퍼 검색!
아래는 초등음악과교육론 / 초등음악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내용
2. 초등음악수업에서의 음악요소별 지도내용: 리듬
음악 요소 |
음악개념 |
|
3-4학년군 |
5-6학년군 |
|
리듬 |
박 |
-> |
박자(meter) |
-> |
|
음의 길고 짧음 |
|
|
간단한 리듬꼴 |
여러 가지 리듬꼴 |
3. 초등음악수업에서의 음악요소별 지도내용: 가락
(가락은 높고 낮은 음들이 횡적으로 연결되며 생겨나는 선적인 요소)
음악 요소 |
음악개념 |
|
3-4학년군 |
5-6학년군 |
|
가락 |
음의 높고 낮음 |
음이름, 계이름 |
차례가기와 뛰어가기 |
장음계, 단음계 |
'초등임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이름과 계이름의 차이 - 고정도법과 이동도법 (0) | 2020.12.11 |
---|---|
장조와 단조 차이 - 음계(장음계, 단음계, 화성단음계), 조표 (0) | 2020.12.11 |
국악 관악기(단소, 대금, 소금,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 정리 + 운지법 (0) | 2020.12.11 |
국악 현악기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양금) (0) | 2020.12.10 |
국악의 특징과 음계 (구음 12율) & 기본 선법과 악기 분류 방법 (1) | 2020.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