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관악기 (대금, 소금,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 총정리
공부하다 이해하기 어려운 건 과제헬퍼 검색!
[참고] 단소와 단소 운지법
단소의 지공(구멍)은 5개가 있다.
이 중 제1공은 뒤에 있으며
맨 아래의 제5공은 음정을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뚫은 것으로 연주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단소 운지법 : 중임무황태 (솔라도레미)
(맨왼쪽은 1공, 왼쪽부터 입쪽이다. 즉, 위쪽이다. 맨오른쪽은 5공)
중(솔) ●●●●○
임(라) ●●●○○
무(도) ●●○○○
황(레) ●○○○○
태(미) ○○○○○
* 단소는 양금과 잘 어울림. 생황(우리 전통악기 중 유일한 화성악기)도 단소와 잘 어울림. 생소변주.
1. 대금, 소금
대금명칭: 큰 관악기
대금 유래: 신라 신문왕 만파식적
최초의 문헌: 삼국유사
통일신라의 삼현삼죽(가야금, 거문고, 비파는 삼현): 대금, 중금(사라짐), 소금
- 대금 제도
취구, 6개의 지공, 청공1, 칠성공
청공의 청(갈대 속 얇은 막) 소리가 대금 음색에 중요한 역할
- 대금 종류와 쓰임
정악 대금: 정악
산조 대금 (약 20세기): 민속악(산조, 민요, 시나위) 등
조율 기준 음: 임종
- 대금, 소금 명칭과 특징
정악 대금: 취구, 청가리개, 제1지공~제6지공, 칠성공(전체 악기의 음높이를 조절함)
산조 대금: 청공, 정악 대금보다 산조대금이 더 짧음 크기만 작다.
소금: 취구, 지공, 칠성공 1개 (청공 없음)
8음: 죽부
연주방법: 횡적 악기
소금 음역★: 임, 남, 무, 황, 태, 고, 중 (단소는 5음인 반면, 소금은 7음)
소금은 국악기 중 가장 높은 음을 냄.
소금의 음역은 임, 남, 무, 황, 태, 고, 중의 7음
소금의 오선음: 임은 라, 남은 시, 무는 도, 황은 레, 태는 미, 고는 파샵, 중은 솔
[참고] 소금의 지공과 운지법
소금의 지공(구멍)은 7개가 있다. (취구 제외)
취구는 입김을 불어넣는 구멍을 의미하고
단소와 달리 구멍이 모두 앞에 있다.
맨 아래의 제7공은 음정을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뚫은 것으로 연주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소금에는 단소의 중임무황태(솔라도레미)에 남(시)과 고(파#)이란 음이 더해짐.
* 소금 운지법 : 임남무황태고중 (라시도레미파#솔)
(맨왼쪽은 1공, 왼쪽부터 입쪽이다. 즉, 위쪽이다. 맨오른쪽은 칠성공)
임(라) ●●●●●●○ 7공 빼고 다 막는다.
남(시) ●●●●●○○ 남(시)은 유일하게 제6공을 연다.
무(도) ●●●●○●○ 여기서부터 뒤에서 하나씩 열린다.
황(레) ●●●○○●○
태(미) ●●○○○●○ (태는 1,2공만 막아도 됨.)
고(파#) ●○○○○●○
중(솔) ○●●○○●○ (암기 - 중은 2,3,6공을 막는다.)
2. 피리(향피리, 당피리, 세피리)
- 향피리
유래를 알 수 없음
지공은 8개, 겹서(Double reed) 꽂아 연주
산조연주, 주선율 담당
- 당피리
고려 예종(1114년) 유입
제도는 향피리와 같음
당악계열의 음악과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 연주
황의 음고가 일반적인 E플랫과 달리, C가 됨.
- 세피리 (소리를 작게 냄.)
조선 후기
악기 제도와 조율은 향피리와 동일
줄풍류, 가곡, 가사, 시조 등
-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 명칭과 특징
8음 - 죽부
연주방법: 종적 악기
서(reed), 1지공(뒤), 지공(앞)
'초등임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조와 단조 차이 - 음계(장음계, 단음계, 화성단음계), 조표 (0) | 2020.12.11 |
---|---|
음악요소 및 개념체계표 영역의 역사적 배경 (0) | 2020.12.11 |
국악 현악기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양금) (0) | 2020.12.10 |
국악의 특징과 음계 (구음 12율) & 기본 선법과 악기 분류 방법 (1) | 2020.12.09 |
세종대왕의 음악적 업적 - 황종율관과 도량형의 통일, 향악의 천명 (0) | 2020.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