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과학

[초3 과학] 지표의 변화 (풍화, 침식 차이) 지표의 변화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과학) 키워드: 지표의 변화, 흙, 식물이 잘 자라는 흙, 강, 파도, 바닷가 1. 소중한 자원, 흙 * 흙이 만들어지는 과정 = 바위가 잘게 부서지는 과정 바위가 부서지는 원인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서) - 바위틈에 있는 물이 얼었다(부피 커져서 틈을 벌림) 녹았다(넓혀진 틈으로 또 물이 들어옴) 하면서 바위를 부서뜨림. - 흐르는 물에 의해 돌끼리 부딪치며 모양이 변함. - 나무뿌리에 의해 바위가 부서짐. (나무가 자라며 뿌리도 굵어짐. 바위가 부서짐.) - 빗물에 의해 바위가 녹음. 이러한 원인들로 바위가 부서지는 작용을 풍화작용이라고 부른다. 바위(모암)이 물, 바람, 식물 뿌리 등에 의해 풍화 작용을 겪으면 돌과 모래가 된다. 돌과 모래도 이 원인에 의해 .. 더보기
[초3 과학] 동물의 한살이 (곤충은 동물일까?) 동물의 한살이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과학) 키워드: 한살이, 배추흰나비, 알, 애벌레, 번데기, 새끼, 동물 동물의 한살이를 배우기 전에 잠깐! 동물과 곤충을 구분하는 것을 힘들어 하는 학생들이 많다. 먼저, 동물에 대해서 개념을 잡아보자. 곤충은 동물일까? 거미는 곤충일까? 거미는 곤충이 아닌 동물일까? 여러분을 헷갈리게 하는 질문일 수도 있다. 살아있는 생명체는 크게 2가지로 분류된다. 바로 동물과 식물로 나뉜다. 그리고 동물 중에서 포유류나 조류, 곤충류나 거미류 등이 있다. 그럼 조금 전의 질문에 답을 해보자. 곤충은 동물일까? → 식물이 아니니까 곤충은 동물이다. 거미는 곤충일까? → 거미는 거미류에 속해서 곤충이 아니다. 거미는 곤충이 아닌 동물일까? → 거미는 식물이 아니니까 동물이지만,.. 더보기
[초3 과학] 자석의 이용 (비둘기 머리에 자석이?!) 자석의 이용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과학) 키워드: 자석, 극, 미는 힘, 끌어당기는 힘, 나침반, 자석의 이용 1. 자석과 물체 우리 주위에는 여러 가지 자석들이 있다. 막대자석도 있고 말굽자석도 있으며 고무자석과 동전자석도 있다. 이러한 자석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자석은 쓰임새에 따라 모양, 크기, 색깔 등이 다양하다. - 자석은 철로 된 물체를 끌어당긴다. (자석만 철로 된 물체를 끌어당기는 것은 아니다. 철로 된 물체도 역시 자석을 끌어당긴다.) - 자석과 철로 된 물체 사이에 자석에 붙지 않는 물체가 있어도 서로 끌어당긴다. (자석과 철로 된 물체 사이에 종이가 있어도 붙는다.) * 자석의 극 - 클립이 많이 붙는다. - 자석에 붙는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이 가장 세다. - 자석에는 극이.. 더보기
[초3 과학] 우리 생활과 물질 "물체와 물질의 차이는?" 우리 생활과 물질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과학) 키워드: 물체, 재료, 물질, 분류, 쓰임새, 고체, 액체, 기체 1. 물체와 물질 장난감들은 모두 모양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공간도 차지한다. 이 장난감들은 모두 재료가 다를 수 있는데, 플라스틱 재료로 된 공룡 장난감이 있을 수도 있고 섬유 재료로 된 인형 장난감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런 장난감들을 물체라고 부른다. 그리고 물체를 이루는 이 재료를 물질이라고 부른다. * 물체: 모양이 있고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 예) 장난감, 학용품, 운동용품 등 한 가지 물질로 이루어진 물체(지우개)도 있고 여러 가지 물질로 이루어진 물체(연필)도 있다. 예) 연필: 흑연+나무+금속+지우개 * 물질: 물체를 만드는 재료 예) 플라스틱, 금속, 섬유, 나무 등 물.. 더보기
과학 잘하는 법, 과학이 재밌어지는 방법 1. 과학 공부를 잘하는 방법, 과학이 재밌어지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의 공부입니다. 오늘은 과학 공부를 잘하는 방법, 그리고 과학이 재밌어지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과학이 재미가 참 없으시죠? 과학이 참 어렵지는 않으신가요? 과학을 어려워하지 않는 학생도 과학을 재미없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과학에 안 맞는 사람이라서 과학이 재미없는 것이 아닙니다. 이해를 하고 싶은 스토리도 없고, 이해를 하자마자 바로 암기할 것으로 강요하고 그걸 얼마나 잘 외웠는지를 판단하는 시험이나 치게 되고 이러한 잘못된 과학 교육이 여러분이 과학을 재미없게 만든 원인일 수 있습니다! 암기식, 주입식 과학 교육의 문제점은 여러분이 과학을 재미없게 만드는 것을 넘어 과학을 어려워 하게 .. 더보기
[생명과학1] 생물의 특성과 바이러스 1. 생물의 특성 우리가 생물과 무생물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어떤 특성들을 가졌을 때 생물이라고 부르는 것일까요? 생물의 특성에는 크게 7가지가 있습니다. 이 중 ①~⑤는 개체 유지 특성이라고 부르며 ⑥~⑦은 종족 유지 특성이라고 부릅니다. 먼저 개체 유지 특성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개체유지특성] ① 세포로 이루어짐 세포는 생물의 기본단위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형인 바이러스는 세포로 구성되지 않음. * 단세포생물 vs 다세포생물 1) 단세포: 대장균, 짚신벌레. 아메바 2) 다세포: 사람, 식물 * 원핵세포 vs 진핵세포 1) 원핵세포: 원시적인 핵. 핵막이 없다. 세포 안에 유전물질이 있지만 핵막으로 싸여있지 않아서 핵과 세포질이 구분 안 됨. 그래서 핵이 없다고 이야기함. 소포체, 골지체와 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