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과학/초등과학

과학 잘하는 법, 과학이 재밌어지는 방법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1. 과학 공부를 잘하는 방법, 과학이 재밌어지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의 공부입니다.
오늘은 과학 공부를 잘하는 방법, 그리고 과학이 재밌어지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여러분!
과학이 재미가 참 없으시죠? 
과학이 참 어렵지는 않으신가요?

과학을 어려워하지 않는 학생도 과학을 재미없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과학에 안 맞는 사람이라서 과학이 재미없는 것이 아닙니다.
이해를 하고 싶은 스토리도 없고,
이해를 하자마자 바로 암기할 것으로 강요하고
그걸 얼마나 잘 외웠는지를 판단하는 시험이나 치게 되고
이러한 잘못된 과학 교육이 여러분이 과학을 재미없게 만든 원인일 수 있습니다!

암기식, 주입식 과학 교육의 문제점은 여러분이 과학을 재미없게 만드는 것을 넘어
과학을 어려워 하게 만듭니다.
과학의 기초도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새롭게 배우는 내용이 이해가 될 리도 없는데
며칠 뒤면 또 시험으로 잘 암기했는지 판단하겠다고 하죠...

인류를 지구에서 가장 강한 존재로 만들어준 과학,
인류사에서 위대한 인물의 토대가 된 과학
아무리 과학교육이 잘못되었다 하더라도 우리는 이런 소중한 과학을 버릴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과학교육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됩니다.
우리 다시 그때로 돌아갑시다!
만일 여러분이 초등학교 고학년이거나 중학생, 고등학생이라면 그 시절보다 더 빨리, 그리고 더 잘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우리는 과학의 기초를 잡을 겁니다.

모든 공부는 기초가 가장 중요합니다.

과학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는 과학의 기초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과학의 기초는 초등학교 과학입니다.
과학의 기초가 부족한 누구라도 초등학교 과학을 잘 알고 있다면, 이후의 과학도 잘 해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과학을 좋아하게 될 것입니다.

과학을 싫어하는 사람은 과학을 암기과목이라고 싫어합니다.
그러나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은 과학을 이해해보니 재밌어서 외울 게 있다면 자발적으로 외웁니다.
마치,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 소설의 등장인물 이름까지 외우는 것과 비슷하죠.

지금부터 저, 오늘의 공부와 함께 과학의 기초를 다져봅시다.

'오늘의 공부'를 즐겨찾기 하시고 함께 공부해봅시다.
잘 이해가 되는 분들은 하루에 글을 3개 이상씩 보셔도 좋습니다.
잘 이해가 안 된시는 분들께서는 하루에 글을 1개씩은 꾸준히 봅시다.

공부하시면서 궁금한 점이 생기면, 댓글을 달아주셔도 되고
네이버 과제헬퍼를 통해 질문주셔도 좋습니다.
과제헬퍼를 통해 질문 주시면 신속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2. 초등학교 과학의 영역


먼저, 초등 과학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영역이 있습니다.
물질, 에너지, 생명, 지구
초등학교 과학에서는 매 학년마다 물질 영역 2개, 에너지 영역 2개, 생명 영역 2개, 지구 영역 2개를 배우게 됩니다.

이 모든 개념들은 다 분리되어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 연결되어있습니다.
오늘의 공부와 함께 과학의 기초를 다 잡은 날에는 이 말이 무슨 말인지 이해가 가실 거예요!

자, 그러면 오리엔테이션은 여기에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강의는 우리 생활과 물질에서부터 시작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