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교육학

[교육학] 드리븐의 사회화이론 기술기능이론 교육사회학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교직논술 교육학 정리 <교육사회학>
기능주의 이론들과 사회

드리븐의 사회화 이론

기술기능이론

 

 

지난 글인 교육사회학의 흐름의 연장선에서

드리븐의 사회화 이론과 기술기능이론을 다루어보겠습니다.

교육사회학은 기능론과 갈등론으로 입장을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요,

지난 글의 뒤르켐과 파슨스는 기능론에 해당하며,

이번에 다룰 드리븐과 기술기능이론 역시 기능론에 해당합니다.

 

뒤르켐, 파슨스는 아래의 내용 참고해보세요.

https://3log2.tistory.com/102

 

교육사회학의 흐름 뒤르켐 사회화 이론 파슨스 사회체제 이론 기능주의

교직논술 대비 교육학 교육사회학이란 교육이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관한 학문을 의미합니다. 본 글을 포함해 총 3개의 글을 통해 교육사회학의 흐름을 살펴볼 것입니다. 교육사회학

3log2.tistory.com

 

* 교육사회학의 흐름 (지난 글)

 

기능주의의 연장선에서 드리븐의 사회화 이론부터 살펴봅시다.

 

1. 드리븐의 사회화 이론


드리븐은 산업사회에서 중시되는 4가지 특성을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1) 독립성

스스로 자기 일을 하고 책임을 짐

 

(2) 성취성

노력 자체보다는 성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함

 

(3) 보편성

사회 질서를 위해 보편적인 규범을 알아야 함

 

(4) 특정성

예외의 경우가 있음을 알고 필요성과 이해하는 마음을 배움

 

→ 드리븐의 사회학 이론 4가지 요소

독립적인 존재 + 성취

보편성이 있으면, 특정성(예외)도 있는 법

 

 

2. 기능이론 X5


5가지의 기능이론이 있습니다.

기술기능이론, 인간자본론, 발전교육론, 근대화이론, 신기능이론이 그것이죠.

이들의 공통점은 교육의 수단적 기능을 강조하였다는 것과 능력주의를 지지한다는 것입니다.

기능주의에 해당하는 이론답게 대표 키워드인 능력주의를 볼 수 있습니다.

 

(1) 기술기능이론

키워드: 기술

산업사회 기술 수준 향상  학력 향상

"기술이 향상되면, 당연히 학력도 향상될 것이다."

"기술 수준과 학력 수준은 일치한다."

- 기술기능이론의 한계: 과잉학력현상을 설명하지 못함.

* 과잉학력현상: 고학력을 가졌음에도 학력보다 낮은 지위를 가지는 현상

(기술기능이론에서는 학력이 높은데, 그에 상응하는 일을 못하는 경우에 대한 답을 내놓지 못합니다.)

 

(2) 인간자본론

키워드: 인간, 자본

인간도 자본, 투자 대상

인간에 투자  생산성 향상  소득 증가  경제 발전

한계: 인간의 지나친 수단화

 

(3) 발전교육론

키워드: 발전

교육을 사회 발전의 수단으로 보고 국가 발전을 위해 교육의 양과 질 조절

 

(4) 근대화 이론

키워드: 근대화

학교교육으로 근대적 가치관 함양, 사회의 근대화를 이끌어야 함.

성취 동기 중요.

 

(5) 신기능이론

키워드: 세계화 시대, 기능주의 보완

"효율화, 분업화를 중시하는 학교교육을 정당화하지 말고 비판하며 보완, 학교교육을 강화하자."

"집단 간 갈등을 무시하고 통합과 합의를 중시하던 기능주의의 한계를 보완하자."

교육팽창은 국제경쟁에 각 사회가 적극 대응한 결과이며 교육개혁이 중요하다고 봄.

 

 

- 기능이론의 한계점

인간을 수동적 존재, 사회에 종속된 존재로 봅니다.

교육선발 합리화-학력경쟁  전인교육 소홀

보편성 강조로 개별성 말살 위험

교육의 수단화로 인간적 만남 부재

다양한 집단 간 갈등 무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역동성 무시 ex) 자꾸 사회화시키려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