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논술 교육학 정리 <교육사회학>
기능주의 이론들과 사회
드리븐의 사회화 이론
기술기능이론
지난 글인 교육사회학의 흐름의 연장선에서
드리븐의 사회화 이론과 기술기능이론을 다루어보겠습니다.
교육사회학은 기능론과 갈등론으로 입장을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요,
지난 글의 뒤르켐과 파슨스는 기능론에 해당하며,
이번에 다룰 드리븐과 기술기능이론 역시 기능론에 해당합니다.
뒤르켐, 파슨스는 아래의 내용 참고해보세요.
교육사회학의 흐름 뒤르켐 사회화 이론 파슨스 사회체제 이론 기능주의
교직논술 대비 교육학 교육사회학이란 교육이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관한 학문을 의미합니다. 본 글을 포함해 총 3개의 글을 통해 교육사회학의 흐름을 살펴볼 것입니다. 교육사회학
3log2.tistory.com
* 교육사회학의 흐름 (지난 글)
기능주의의 연장선에서 드리븐의 사회화 이론부터 살펴봅시다.
1. 드리븐의 사회화 이론
드리븐은 산업사회에서 중시되는 4가지 특성을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1) 독립성
스스로 자기 일을 하고 책임을 짐
(2) 성취성
노력 자체보다는 성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함
(3) 보편성
사회 질서를 위해 보편적인 규범을 알아야 함
(4) 특정성
예외의 경우가 있음을 알고 필요성과 이해하는 마음을 배움
→ 드리븐의 사회학 이론 4가지 요소
독립적인 존재 + 성취
보편성이 있으면, 특정성(예외)도 있는 법
2. 기능이론 X5
5가지의 기능이론이 있습니다.
기술기능이론, 인간자본론, 발전교육론, 근대화이론, 신기능이론이 그것이죠.
이들의 공통점은 교육의 수단적 기능을 강조하였다는 것과 능력주의를 지지한다는 것입니다.
기능주의에 해당하는 이론답게 대표 키워드인 능력주의를 볼 수 있습니다.
(1) 기술기능이론
키워드: 기술
산업사회 기술 수준 향상 → 학력 향상
"기술이 향상되면, 당연히 학력도 향상될 것이다."
"기술 수준과 학력 수준은 일치한다."
- 기술기능이론의 한계: 과잉학력현상을 설명하지 못함.
* 과잉학력현상: 고학력을 가졌음에도 학력보다 낮은 지위를 가지는 현상
(기술기능이론에서는 학력이 높은데, 그에 상응하는 일을 못하는 경우에 대한 답을 내놓지 못합니다.)
(2) 인간자본론
키워드: 인간, 자본
인간도 자본, 투자 대상
인간에 투자 → 생산성 향상 → 소득 증가 → 경제 발전
한계: 인간의 지나친 수단화
(3) 발전교육론
키워드: 발전
교육을 사회 발전의 수단으로 보고 국가 발전을 위해 교육의 양과 질 조절
(4) 근대화 이론
키워드: 근대화
학교교육으로 근대적 가치관 함양, 사회의 근대화를 이끌어야 함.
성취 동기 중요.
(5) 신기능이론
키워드: 세계화 시대, 기능주의 보완
"효율화, 분업화를 중시하는 학교교육을 정당화하지 말고 비판하며 보완, 학교교육을 강화하자."
"집단 간 갈등을 무시하고 통합과 합의를 중시하던 기능주의의 한계를 보완하자."
교육팽창은 국제경쟁에 각 사회가 적극 대응한 결과이며 교육개혁이 중요하다고 봄.
- 기능이론의 한계점
인간을 수동적 존재, 사회에 종속된 존재로 봅니다.
교육선발 합리화-학력경쟁 → 전인교육 소홀
보편성 강조로 개별성 말살 위험
교육의 수단화로 인간적 만남 부재
다양한 집단 간 갈등 무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역동성 무시 ex) 자꾸 사회화시키려 든다.
'초등임용 >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학] 자기주도학습 자기조절학습 전략 인지적 자기교수 (0) | 2021.07.10 |
---|---|
[교육학] 갈등론 저항 이론 애플 구조적 재개념주의 (0) | 2021.07.08 |
교육사회학의 흐름 뒤르켐 사회화 이론 파슨스 사회체제 이론 기능주의 (0) | 2021.07.03 |
[교육학]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파이너 실존적 재개념주의 아이즈너 애플 (0) | 2021.07.02 |
[교육학] 메이커 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효과 렌줄리의 교육과정 압축 (0) | 2021.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