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중등임용 교직논술
교육학 개념 정리
교육사회학의 기능론에 반발하며 등장한 갈등론적 입장을 알아보겠습니다.
- 저항이론
- 애플 구조적 재개념주의 + 컴퓨터교육 비판
1. 저항이론
먼저, 저항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갈등론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 갈등론의 기본 입장
학교교육이 확대되는데 왜 사회적 불평등이 존재하는가.
(기능론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에 대해 갈등론이 정확히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갈등론의 연장선에서 저항이론은 마르크스주의와 관련이 있습니다.
- 마르크스주의
모든 인류의 역사는 계급 투쟁의 역사다.
학교 교육은 자본주의의 불평등구조를 재생산한다.
마르크스주의에 따르면,
기능주의가 말하는 기회의 평등은 현실에 없으며 학교 교육을 통한 계층 이동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학교라는 상부구조가 산업구조라는 하부구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하부구조는 상부구조가 뿌리내리고 있는 토양입니다. 그 토양이 산업시대의 토질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죠.)
결국, 학생들은 지배 이데올로기를 받아들이고 기존 구조는 재생산됩니다.
* 헤게모니: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물리적 폭력 없이 내면화시켜 영향력을 끼치는 지배 방식
그러면 본격적으로 저항이론을 살펴봅시다.
- 저항이론
갈등론의 기본 입장은 지배계층의 헤게모니가 그대로 수용된다고 보았으나,
저항이론의 기본 입장은 다릅니다.
- 저항 이론 기본 입장
종속적 지위의 사람들도 자신의 의사를 반영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저항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저항 이론은 단순한 재생산을 넘은 탈재생산론으로도 불립니다.
저항 이론에 따르면,
자율성과 창조성, 자유 의지로 학교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학교는 정치적 투쟁과 경쟁의 장입니다.
2. APPLE의 구조적 재개념주의
여기서 애플은 아이폰 apple 아닙니다.
지난 글에서 교육과정 재개념주의자로 파이너(실존적 재개념화), 아이즈너(예술적 재개념주의)와 함께 언급된 마이클 애플(구조적 재개념화)이란 학자이지요.
[교육학]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파이너 실존적 재개념주의 아이즈너 애플
교직논술 관련 교육학 정리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 파이너의 실존적 재개념주의 - 재개념주의의 철학적 바탕 = 현상학 + 실존주의 1.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교육과정 재개념주의란 교육과정에 대
3log2.tistory.com
교육과정 재개념주의를 정리한 글에서 애플이 학교 교육 속에 사회, 경제, 정치적 구조의 영향으로 존재하게 된 불평등에 주목하고 있다고 정리하였는데, 이번에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봅시다.
애플에 따르면,
학교는 헤게모니를 재생산하기도 하지만 반 헤게모니를 생산하기도 합니다.
저항이론과 같은 맥락이지요.
- 애플의 저항이론
그는 학교의 민주화로 지배 이데올로기, 허위의식과 억압구조를 비판적으로 성찰, 수용하게 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를 위해선 "교육과정에 숨어 있는 헤게모니가 무엇인가." 찾아보는
교육과정의 구조적 재개념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 애플의 구조적 재개념주의 vs 파이나의 실존적 재개념주의
애플의 경우, 개인 외부인 사회 경제적 요인에 포커스를 두고 있고
파이나의 경우, 개인내부적 요인에 포커스를 두고 있습니다.
마이클 애플은 기술적 통제와 기술 공학적 논리만을 중시하는 작태를 비판하였습니다.
그는 오늘날 학교교육이 효율적이고 기술적인 교육과정 운용에만 집중하여 헤게모니 파악을 못하게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렇게 가르침을 기술 공학적으로 접근하면 가르치는 일을 단순한 지식 전달로 오해하게 될 수 있습니다.
마이클 애플은 이러한 지식 전달식 수업을 굉장히 싫어한 학자로,
표준화된 교육과정 도입의 위험성을 강하게 경고하였습니다.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도입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타난다고 이야기하였습니다.
교사는 단순 적용, 전달 → 탈숙련화 현상
교사는 외부의 지침을 배우며 재숙련화
이런 과정에서 단순 관리자로 교사가 전락하고 교사의 소외 현상이 일어난다.
마이클 애플이 이야기한 탈숙련화, 재숙련화, 교사의 소외 현상에 대해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네요.
- 애플의 컴퓨터 교육 비판
비슷한 측면에서 애플은 컴퓨터 교육을 비판하였습니다.
단순 내용전달용 인터넷 자료 교육용 소프트웨어는 교사를 교육과정 성찰에서 분리시키고 탈숙련화 현상을 야기하기 때문이지요.
컴퓨터는 계층 간 접근성이 달라 학습의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초래된다는 것도 그가 컴퓨터 교육을 비판하는 이유 중 하나랍니다.
'초등임용 >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두라 사회인지학습이론 관찰학습 과정 모델링 (0) | 2021.07.11 |
---|---|
[교육학] 자기주도학습 자기조절학습 전략 인지적 자기교수 (0) | 2021.07.10 |
[교육학] 드리븐의 사회화이론 기술기능이론 교육사회학 (0) | 2021.07.04 |
교육사회학의 흐름 뒤르켐 사회화 이론 파슨스 사회체제 이론 기능주의 (0) | 2021.07.03 |
[교육학]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파이너 실존적 재개념주의 아이즈너 애플 (0) | 2021.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