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와 교사의 바람직한 관계를 위해서 어떻게 소통해야 하고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
- 브론펜브레너의 생태체계이론
- 앱스타인의 학교-가정 연계 유형
1. 브론펜브레너의 생태체계이론 (= 생물 생태학적 발달이론)
브론펜브레너의 생태체계이론은 학교와 가정 연계의 필요성을 알려주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을 요약하자면, 학습자는 주변과 상호작용하여 발달하는 기질이 있다는 것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관을 따르고 있습니다.
즉, 브론펜브레너의 생태체계이론은 학생의 기질과 환경의 조화를 강조합니다.
이때, 학생과 상호작용하는 체계는 5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학생과 상호작용하는 5가지 체계
미시체계 / 중간체계 / 외부체계 / 거시체계 / 시간체계
① 미시체계
- 학생과 직접 상호작용하는 가장 가까운 요소
- 사람, 환경적인 요소, 교육 활동 여건 등 모두 포함하는 개념
ex) 부모, 교사, 친구, 학교, 놀이, TV
② 중간체계
- 미시체계 간의 관계
ex) 부모가 학교에 참여하며 만들어지는 관계, 아동이 친구와 맺는 관계에서 생기는 분위기 등
- 미시체계와 학생에게 영향을 미침
ex) 학부모가 학교에 참여하여 만들어지는 관계는 학생의 교육 활동이 심화 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ex) 학생과 친구들 사이 공부를 열심히 하는 분위기가 있으면 학생도 집단 속에서 공부를 열심히 하게 됩니다.
- 미시체계가 학생에게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학생이 미시체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함.
ex) 학생이 학폭을 일으키면 부모와 교사의 관계가 불편해짐
③ 외부체계 (= 외체계)
- 학생에게 직접 영향을 주진 않지만, 영향을 주는 사회 요소
ex) 부모의 직장, 복지혜택, 부모의 인간관계
- 부모의 대인 관계와 네트워킹이 학생 생존까지 영향 미칠 수 있음.
④ 거시체계
위 모든 체계를 감싸는 사회 전체의 이데올로기, 문화, 규범, 법률 등의 가치체계
ex) 비폭력적인 문화의 사회에서는 아동을 인격적으로 대우하여 아동학대가 적으나, 체벌을 허용하는 사회는 아동학대 확률이 높습니다.
⑤ 시간체계
- 변화가 발생한 시기가 효과에 영향을 줌 (= 타이밍)
- 전 생애적으로 어떤 시기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하는 ’통시적 관점‘
ex) 부모가 이혼하는 상황은 자녀가 초등학생일 때와 대학생일 때 미치는 영향이 다릅니다.
이혼 후 1년이 가장 여파가 크다면 그 시간이 지나도 불안이나 심리적 영향이 지속 될 수 있다는 시간적인 고려
→
브론펜브레너의 생태체계이론을 통해 한 사람이 성장하는데는 여러 겹의 체계가 둘러쌓여 상호작용을 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가정과 학교의 연계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가정과 학교는 둘 다 미시체계이자, 서로 간 상호작용하고 관계 형성하는 중간체계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고 교육 효과를 만들어 내야 합니다.
한편, 체계는 끊임없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앞서 브론펜브레너의 생태체계이론을 통해 학교와 가정의 연계가 필요한 이유를 알게 되었다면,
앱스타인의 이론을 통해 학교와 가정을 어떻게 연계할 것인지 유형화할 수 있습니다.
2. 앱스타인의 학교-가정 연계 유형
가정과 학교를 어떻게 연계할 것인지,
학부모의 학교 교육 참여 방법에 무엇이 있는지
앱스타인은 다음의 6가지 유형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둘씩 가정에서 실천 기능, 학교에서 참여 가능, 집에서 지역사회까지로의 범위 확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의 실천 기능>
① 부모 역할
부모의 역할을 다한다, 교사는 부모 역할을 잘하도록 부모 교육을 안내함
ex) 교사가 학부모에게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안내하여 참여까지 이어지도록 하는 것
② 가정에서 학습활동 지원
숙제 돕기, 교육과정 활동 함께하기 등
ex) 가정에서 부모가 숙제를 도와주기
<학교에서의 참여 기능>
③ 의사소통
학부모와 교사가 상담하며 학생에 대한 의견 공유
④ 자원봉사
학부모의 학교 프로그램 참여 및 지원
ex) 녹색 어머니회
<집에서 지역사회까지로의 범위 확장>
⑤ 의사결정 참여
학부모 조직, 학교운영위원회 등 학교 심의 의결에 참여
⑥ 학교를 위해 지역사회와 협력
지역사회 서비스를 알리거나 함께 참여하는 것
'초등임용 >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학 변혁적 지도성 분산적 지도성 상황적 지도성 (0) | 2021.07.19 |
---|---|
타일러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워커 숙의모형 (0) | 2021.07.19 |
메슬로우 욕구 피라미드 에릭슨 성격발달이론 문화실조론 (0) | 2021.07.19 |
학교폭력 원인 학습동기이론 사회통제 사회반응 차별접촉이론 (0) | 2021.07.18 |
상담 기본조건 상담기법 청킹 상담윤리 행동주의상담이론 (0) | 2021.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