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복습퀴즈

초등임용 국어 읽기 평가 방법 기본이론 퀴즈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초등임용 국어 읽기 평가법 매일복습 퀴즈

인스타 tech_imgo 빈칸 문제를 풀어보았다면, 본 블로그의 기본이론 복습 문제를 해결해봅시다.

 

A. 초등임용 기본이론 국어 퀴즈 - 읽기 평가 방법


1. 오독 유형은?

추가 삭제 대치 자기 수정 무반응

2. 오독 분석법의 단점과 보완 방법?

객관성 부족 → 메모, 녹화

3. 오독 유형 중 자기 수정과 무반응의 차이는?

자기 수정은 반응 2번

4. 기억의 양, 인출 전략과 관련된 읽기 평가 방법

자유회상법

5. 자유회상법은 기억력 요인으로 ~ 부족하다.

타당성

 

 

6. 타당성 부족한 읽기 평가 방법 2가지와 이유

자유회상법 - 기억력 요인

선다형 검사 - 분절적 지식 물음

7. 낙서는 포트폴리오법 자료가 될 수 없다. T/F

F

8. 빈칸 메우는 과정을 부분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빈칸 메우기 검사

9. 평가와 교수학습의 통합, 개별화된 평가에 용이한 평가법?

포트폴리오법

10. 오독 분석법과 관찰법의 공통적인 단점?

객관성 부족

 

B. 임용고시 기본이론 정리 - 읽기 평가 방법


3. 읽기 영역 평가

(1) 오독 분석법
(2) 자유회상법
(3) 중요도 평정
(4) 선다형 검사
(5) 빈칸 메우기 검사

(6) 포트폴리오법 = ALL(읽+쓰+듣말)
(7) 프로토콜 분석 = 읽+쓰
(8) 관찰법 = 읽+듣말

 

(1) 오독 분석법: 읽게 하고 잘못 읽는 것 분석하는 평가법
- 오독 유형: 추가, 삭제, 대치(무의미~, 의미~), 자기 수정, 무반응
- 장) 강점과 약점 알 수 있음 / 지식 태도 신념 등 구체적 정보
- 단) 일대일 진행되어 오래 걸림 / 객관성 부족(→ 메모 or 녹화)
* 자기 수정은 읽고 다시 수정하는 것 = 1차 반응+2차 반응

(2) 자유회상법: 기억의 양, 이해 정도, 기억 조직 방식, 인출 전략 등 평가
- 장) 읽기 성향, 능력 차이 양상 및 원인 추론 / 전반적 독해 능력 수준
- 단) 평가 쉽지만 결과 해석 어려움 / 기억력 요인 개입 타당성 부족

(3) 중요도 평정: 글 의미 단위 나누고 주제, 목적 고려 중요도 판단
- 장) 읽기 능력 파악 타당성 높음

(4) 선다형 검사: 가장 널리 씀.
- 장) 다수 대상 특정 시간 집단 검사 / 시간 비용 적음
- 단) 문항 구성 타당성 있기 어려움 / 읽기 지식 분절적 물음

(5) 빈칸 메우기 검사: 문맥, 사전 지식 이용하게 함.
- 장) 문항 구성 쉬움 / 빈칸 메우는 과정 부분적 평가

(6) 포트폴리오법 = ALL(읽+쓰+듣말)
수행, 성취 자료 모은 기록 파일
- 장) 읽기 지도 개별화 / 교사-학생 상호작용 / 평가-교수학습 통합
- 단) 신뢰성 부족 / 대단위 학생 평가 서열화하기 부적절
* 낙서와 같은 모든 것이 자료가 될 수 있음. (유익한 판단 가능하면)

(7) 프로토콜 분석 = 읽+쓰
읽어 나가는 과정 어떤 생각 떠올랐는지 다 말하게 하고 자료 분석
주로 녹음기 사용
- 장) 머릿속 언어 사용 과정 전략 / 초인지 요소 지점 확인
- 단) 저학년 어려움 / 평가자가 잘 알아야 함

(8) 관찰법 = 읽+듣말
학생 지속적 관찰, 종합적 평가
- 장) 읽기 수준 정확히 파악 / 교사-학생 상호작용 / 흥미, 자신감, 조언
- 단) 교사 훈련 부족하면 객관성, 변별력 부족,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