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국어 과정 중심 쓰기 전략 매일복습 퀴즈
퀴즈의 하단에 tech_imgo 인스타그램에 탑재된 매일복습 이론 정리가 있습니다. :)
초등임용 기본이론 국어 퀴즈 - 쓰기 이론 전략
1. 쓰기 지도 접근 방법 중 학생이 수동적인 것은?
결과 중심 쓰기 지도
2. 쓰기 이론 중 학생이 수동적인 것은?
형식주의 작문 이론
3. 결과 중심 쓰기 지도의 지도 내용은?
글쓰기 규칙
4. 과정 중심 쓰기 지도의 지도 내용은?
쓰기 전략, 상위 인지
5. 맥락 중심 쓰기 지도의 지도 내용은?
담화 관습
6. 장르 중심 쓰기 지도의 지도 내용은?
장르 지식
7. 장르 중심 쓰기 지도의 지도 방법은?
책임 이양 방식
8. 장르 중심 vs 결과 중심 차이점?
장르 중심은 모방 X 실제적 쓰기 O
9. 장르 중심은 어떻게 과정 중심 보완?
쓰기 능력 길러준다.
10. 맥락 중심 쓰기 지도의 지도 방법?
쓰기 워크숍
11. 과정 중심 쓰기의 지도 방법?
사고 구술법
12. 결과 중심 쓰기의 지도 방법?
모방, 반복 연습
13. 과정 중심 쓰기 지도 교사 역할?
참여자 조력자 안내자
14. 결과 중심 쓰기 지도 교사 역할?
점검자 평가자
15. 맥락, 장르 중심 교사 역할?
촉진자 안내자
16. 맥락 중심에서 글쓰기의 주체는 개개의 학생 T/F
F(공동체)
17. 열거하기 브레인스토밍 차이점
열거하기는 특정 범주에 맞게 떠올린다.
18. '씨름, 썰매 → 놀이' 어떤 쓰기 전략?
다발짓기
19. 과정 중심 쓰기 지도에서 교사는 개입하지 X T/F
F(역동적으로 개입)
20. 이야기 나누기 전략은 자유로운 주제 기반 T/F
F
1. 국어 기본이론 쓰기 지도 접근 방법 정리
(1) 결과 중심 쓰기 지도(형식주의) - 유일하게 학생이 수동적이다.
(2) 과정 중심 쓰기 지도(인지주의)
(3) 맥락 중심 쓰기 지도(사회 구성주의)
(4) 장르 중심 쓰기 지도 - (1)과 차이점 O, (2)의 대안
(1) 결과 중심 쓰기 지도(형식주의)
쓰기 = 규칙 따라 글 실현 과정, 결과물 관심
단어 → 문장 → 문단 → 글 (고정 단계)
모범 글 제시 → 내용, 형식 분석 → 모방, 반복 연습
교사 = 점검자, 평가자 / 학생 = 수동적
(2) 과정 중심 쓰기 지도(인지주의)
쓰기 = 목표 지향적 문제 해결 행위로 글 완성 사고 과정,
인지 과정 및 의미 구성 과정 관심, 쓰기 전략, 회귀성, 상위인지 강조
사고 구술법(사고 행위 그대로 말하기)
- 계획하기, 내용 생성하기, 내용 조직하기, 표현하기, 고쳐쓰기
회귀적 쓰기 과정에 교사 역동적 개입 → 작문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촉진
교사 = 참여자, 조력자, 안내자 / 학생 = 능동적, 적극적
(3) 맥락 중심 쓰기 지도(사회 구성주의)
쓰기 = 담화 공동체 구성원 상호작용 통한 의미 구성 과정(사회화)
글쓰기의 주체 = 공동체 O 개인 X, 담화 관습 지도
소집단 협동 작문 활동(쓰기 워크숍) → 생각의 폭 넓힘
교사 = 안내자, 촉진자 / 학생 = 능동적, 적극적
* 쓰기 워크숍: 교사 지도 안내 따라 모둠 활동, 과정+결과 균형
① 미니수업: 쓰기 전략 예시 글, 워크숍 절차
② 글쓰기 ★: 쓸 준비 점검 필요, 실질적 글쓰기
③ 협의: 초고 쓰는 과정, 초고 쓴 후 서로 읽고 조언, 토의, 교사 순회
④ 공유: 전체 활동, 긍정적 필자 감각 목적(비판 X)
(4) 장르 중심 쓰기 지도
과정 중심 쓰기 지도의 문제점(쓰기 능력 아닌 사고력 신장 초점) 대안
담화 공동체 구성원 사이 의사소통 원활 목적 → 장르 특성 반영
장르 지식: 사회·문화적 맥락, 내용·형식적 특성
책임 이양의 원리: 교사 시범 → 학생 주도
교사 = 안내자, 촉진자 / 학생 = 능동적, 적극적
※ 결과 중심과 달리 모방 X, 실제적 쓰기 수행 O
2. 국어 기본이론 과정 중심 쓰기 지도 전략 (회귀적임!)
(1) 계획하기
- 주제/목적/독자 설정·분석하기
- 자신/조건 분석하기
- 형태 고려하기 ex) 시, 이야기
(2) 내용 생성하기
① 생각 그물(마인드맵): 가운데 주제, 선+도형
② 열거하기: 특정 범주 O, 의도적 떠올림 ex) 놀이→씨름, 썰매
③ 브레인스토밍: 특정 범주 X, 양이 질을 결정한다.
④ 이야기 나누기: 특정 주제 짝, 소집단, 대집단 이야기/토론/토의
⑤ 면담하기: 형식적인 이야기 나누기(계획, 정리 포함)
⑥ 관련 자료 읽기
(3) 내용 조직하기: 응집성↑ 통일성↑
① 다발 짓기: 이미 생성한 아이디어 시각적 범주화 ex) 씨름,썰매→놀이
cf) 읽기 후 - 의미 지도 그리기 → 어휘 지도에서 다발 짓기
② 얼개 짜기
③ 협의하기 - 협의할 점 명확히, 전체 단계 활용
(4) 표현하기
① 말로 쓰기(구두 작문): 쓰기 전 말로 해 보기
② 얼른 쓰기(내리쓰기, 빨리 쓰기): 글씨X 어법X 처음부터 끝까지 쭉~
(5) 고쳐쓰기: 글 → 문단 → 문장 → 낱말 (결과 중심 쓰기, 읽기 상향식과 반대!)
* 고쳐쓰기 형태: ① 첨가 ② 삭제 ③ 대체 ④ 이동 ⑤ 재배열
cf) 읽기 오독 유형: 추가, 삭제, 대치, 자기 수정, 무반응
① 훑어 읽기: 고쳐쓰기 형태 간단 표시
② 돌려 읽기: 주제, 목적, 독자 등 고려
③ 평가하기: 짝, 소집단
④ 비평 집단 운영하기: 학생 일부를 비평 집단으로
(6) 점검하기(조정하기)
① 자기 평가
② 자기 기록: 메모, 그래프 등에 수행 진전 정도 표시
③ 자기 질문: 어떤 질문 해야 하는지 자기평가 활용
'초등임용 > 복습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임용 국어 과정 중심 듣기 말하기 전략 퀴즈 (0) | 2022.01.14 |
---|---|
초등임용 국어 쓰기 평가 방법 기본이론 퀴즈 (0) | 2022.01.14 |
초등임용 국어 읽기 평가 방법 기본이론 퀴즈 (0) | 2022.01.10 |
초등임용 국어 과정 중심 읽기 전략 기본이론 퀴즈 (0) | 2022.01.10 |
초등임용 미술 펠드만 복습노트 퀴즈 정리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