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임용 국어 과정 중심 읽기 전략 매일복습 퀴즈
tech_imgo 인스타로 빈칸 문제를 풀어보았다면,
기본이론 복습퀴즈를 풀어봅시다.
아래에 빠르게 개념을 확인할 수 있는 정리도 있습니다!
초등임용고시 국어 기본이론 퀴즈 - 과정 중심 읽기 과정, 읽기 전략
1. 담화 내용 영역 대해 독자가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의 구조는?
내용 스키마
2. 예측하기와 미리보기의 차이점은?
예측하기는 읽기 전체 과정
3. 예측하기와 추론하기의 차이점은?
예측하기는 예상 확인이 가능함.
cf) 읽은 후 예측하기는 글에 없는 뒷부분 예측 가능
4. 도해 조직자 관련 읽기 전략?
구조 파악하기, 의미 지도 그리기
5. 의미 지도 그리기를 어휘 지도에 활용하면?
다발짓기형 도해 조직자
6. 읽기 전략 '토의하기' 주제 조건?
흥미O, 논쟁O,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주제
7. 표현의 적절성 관련 읽기 전략?
비판적으로 읽기
8. 과정 중심 읽기에서 읽기란?
의미 구성 행위
9. 상호작용식 모형 관련 깊은 읽기 전략?
요약하기
10. 읽기 전략 '요약하기'와 상위 수준에서 같은 읽기 전략?
중심 생각 찾기
1. 읽기 과정 모형 정리
(1) 상향식 모형
글 중심 모형: 의미 구성 가장 작은 언어 단위 → 큰 단위
(2) 하향식 모형
독자 중심 모형: 독자의 배경지식으로 적극적 가정, 추측
- 내용 스키마: 담화 내용 영역 대해 독자가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 구조
- 구조 스키마: 필자가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담화 구조 대한 지식
(3) 상호작용식 모형
(1) + (2)
2. 과정 중심 읽기 지도(=과정 중심 독서 지도)
읽기 전,중,후 사고 행위 지도, 각 과정 필요 기능 및 전략
읽기 = 의미 구성 행위
- 각 과정별 전략은 그 과정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님.
- 초인지 개념 강조
cf) 결과 중심 읽기 지도: 주제, 줄거리 등
(1) 읽기 전략
<읽기 전 X6>
① 읽는 목적 설정하기 ex) 즐거움, 정보, 시험 대비 공부
② 미리 보기: 제목, 목차, 그림, 책의 두께 → 내용, 종류, 제재, 구조, 난이도
③ 예측하기: 제목, 앞부분, 사진, 그림 → 이어질 내용 추측
※ 미리보기 vs 예측하기
미리보기는 읽기 전에 미리 파악하는 것, 예측하기는 읽기 전체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 글 내용 예상하는 것
예측하기에서는 글을 읽은 후 글에 없는 뒷부분도 예측할 수 있다.
④ 연상하기: 제목, 핵심 단어, 중요 구절 → 브레인스토밍
이미 알고 있는 내용(배경지식) + 알고 싶은 내용
⑤ KW(H)L: KNOW, WANT, LEARNED + 어떻게 수집(HOW)
⑥ 설문조사/질문표: 수업 강조 주제 - 학생 견해, 태도, 과거 경험 관련짓도록 질문
<읽기 중 X7>
① 구조 파악하기 ex) 순서, 나열, 비교와 대조, 문제와 해결, 인과
도해 조직자(그래픽 조직자) 사용 가능 ex) 순서도
텍스트는 내적인 의미 구조 O → 정보 시각화하면 구조, 내용 명확
② 질문하기: 구체적 질문 생성
③ 추론하기: 확인한 내용 바탕 글에 직접 x 내용 추측하는 활동 포함
④ 중심 생각 찾기: If 명확 → 선택, not → 구성
- 문단의 중심 생각 찾기
- 글 전체의 중심 생각 찾기 = 주제 파악
⑤ 협의하기: 무엇, 어떻게 협의하는지 예 들어주고 간단 글 연습 뒤~
⑥ 메모하기: 중요 내용 밑줄, 괄호, 표기 → 주제, 전체적 내용 파악
⑦ 점검하기: 자신의 인지 활동 통제, 조절 반성적 사고 (능숙 독자)
<읽기 후 X6>
① 요약하기: 중요 내용 중심으로 글의 내용 줄임 (삭제, 대체, 선택, 구성)
글을 상위 수준에서 요약 = 중심 생각 찾기
상향식, 하향식 읽기 과정 상호작용 강화
어휘 범주화하기(대표하는 어휘로 대체), 가장 좋은 요약문 고르기(중요한 내용 담고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 중 선택)
② 의미 지도 그리기
도해 조직자의 일종
어휘 지도에서 사용하면 다발짓기형 도해 조직자(주요어 등 주제 중심)
③ 다른 장르로 바꾸기
④ 토의하기: 해결 방안 찾기, 협동적 의사소통 방법
주제 = 흥미O, 논쟁O, 모두 참여O
⑤ 비판적으로 읽기 ex) 사실과 의견 구분, 주장 타당성, 표현 적절성
⑥ 창의적으로 읽기: 글쓴이 생각+자신 생각=새로운 의미 ex) 해결책
'초등임용 > 복습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임용 국어 과정 중심 쓰기 전략 기본이론 퀴즈 (0) | 2022.01.14 |
---|---|
초등임용 국어 읽기 평가 방법 기본이론 퀴즈 (0) | 2022.01.10 |
초등임용 미술 펠드만 복습노트 퀴즈 정리 (0) | 2022.01.09 |
초등임용 미술 가드너 기본이론 퀴즈 (0) | 2022.01.09 |
초등임용 미술 로웬펠드 복습노트 퀴즈 (0) | 2022.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