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국어 듣기 말하기 평가법 복습 퀴즈
과정 중심 읽기 / 쓰기 / 듣기 말하기 중
평가 방법의 대부분을 읽기와 쓰기에서 배워 비교적 평이한 듣말 평가 방법입니다.
듣말 평가로 국어 교과교육론을 마무리해봅시다!

1. 일화 기록법은 배점 항목을 태도로 둘 수 있다. T/F
F
2. 관찰법의 단점
다인수 학급에서 정밀한 평가 X
3. 관찰법을 보완하기 위한 듣기 말하기 평가법?
녹화 기록법
4. 녹화 자료를 지속적 수집, 교수-평가 일체 평가법?
포트폴리오법 (녹화도 OK)
5. 체크리스트, 평정 척도 → 주로 어떤 듣기 말하기 평가법?
관찰법
6. 관찰법 유의점
교사가 편견 없어야 한다.
7. 자기 평가는 평가 항목을 학생이 정한다. T/F
F
8. 동료평가를 통해 알 수 있는 것?
수행에 대한 또래의 반응
9. 총체적 평가 단점
신뢰성 부족
10. 분석적 평가 장점
객관성 높고 구체적 피드백 가능
3. 국어 기본이론 듣기·말하기 영역 평가 정리
(1) 일화 기록법
(2) 녹화 기록법
(3) 포트폴리오법 = ALL(읽+쓰+듣말)
(4) 관찰법 = 읽+듣말
※ (5)~(8) → 쓰+듣말 (쌍으로 묶이는 것들)
(5) 총체적 평가
(6) 분석적 평가
(7) 자기 평가
(8) 동료 평가
(1) 일화 기록법: 발화 내용, 태도 구체적, 사실적 기록 (점수 X, 비교 X)
※ 구체적 기록 → 학습자 능력 발달 촉진
(2) 녹화 기록법: 관찰법 단점(다인수 학급 어려움) 보완, 녹화 분석 평가
- 장) 객관성 / 강점 약점 구체적 피드백 가능(자기 진단도 OK)
(3) 포트폴리오법 = ALL(읽+쓰+듣말) → 녹화 녹음 자료 사용 가능
- 장) 전반적 학습 과정 분석 적절한 피드백 / 지속성(변화 상황)
(4) 관찰법 = 읽+듣말 ex) 체크리스트, 평정 척도
- 언어 사용 능력 종합적 평가 / 관찰 항목, 방법, 평가 기준 척도 마련
- 장) 듣말 과정, 내용, 태도 파악 / 자기 진단 기회
- 단) 다인수 학급 채점하며 기록 어려움
※ 관찰자 편견 X
※ (5)~(8) → 쓰+듣말 (쌍으로 묶이는 것들)
(5) 총체적 평가
- 장) 시간 절약 / 말하기 전체 능력 평가
- 단) 신뢰성 ↓
(6) 분석적 평가: 담화 수행 능력 대표 요소 미리 범주화, 평가, 합
- 장) 객관성 / 학습자 수행 능력 구체적 피드백
- 단) 시간 소요 / 평가 요소 간 경계 불명확
(7) 자기 평가: 교사가 평가 항목 미리 제시
- 장) 자기 진단 / 향후 듣말 목표 설정
(8) 동료 평가: 학습자 수행에 대한 청중의 반응
- 장) 같은 눈높이 청중 어떻게 평가하는가 알 수 있음 / 평가자도 반성
'초등임용 > 복습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임용 국어 그림책 읽기 지도 표준 발음 지도 퀴즈 (0) | 2022.01.22 |
---|---|
초등임용 음악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 고든 퀴즈 (0) | 2022.01.21 |
초등임용 국어 과정 중심 듣기 말하기 전략 퀴즈 (0) | 2022.01.14 |
초등임용 국어 쓰기 평가 방법 기본이론 퀴즈 (0) | 2022.01.14 |
초등임용 국어 과정 중심 쓰기 전략 기본이론 퀴즈 (0) | 202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