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복습퀴즈

초등임용 국어 그림책 읽기 지도 표준 발음 지도 퀴즈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초등임용 국어 1~2학년군 지도서 부록 정리 퀴즈

지난 정리에 이어 1~2학년군 국어 지도서 부록 퀴즈, 정리 마지막입니다.

2022.01.22 - [시험 공부/초등임용1차] - 초등임용 국어 초기 문자 지도 글씨 쓰기 지도

 

국어 그림책 읽기 지도 ~ 표준 발음 지도 매일복습 퀴즈


1. 국밥을 [국빱]으로 읽는 상황. 어떤 관계?

표기와 음독이 서로 다른 관계

2. [궁물]이라고 말, 국물로 쓰는 상황. 어떤 관계?

발음과 표기가 서로 다른 관계

3. 안간힘의 표준 발음은 [안깐힘]만 된다. T/F

F (안간힘도 된다.)

4. 나침반의 표준 발음은 [나침판]이 아니다. T/F

F (나침반, 나침판 모두 표준어)

5. 'ㅟ'는 A이 원칙이지만, B발음 허용한다.

A 단모음 B 이중 모음

 

 

6. '옷감'은 어떤 발음 오류와 관련 있는가?

소리의 동화

[옫깜] → [옥깜]

7. '헝겊에'의 발음 오류 단위는?

낱말

[헝거페] → [헝거베] (연음 오류)

8. '봐요'는 어떤 발음 오류와 관련?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봐요] → [바요]

9. 음소 단위의 발음 오류는?

평음의 유기음화,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중모음의 고모음화

10. 글만 읽어도 이해가 되는 그림책 유형

확장 관계

 

3. 그림책 읽기 지도


(1) 개념·성격
- 그림책: 그림만 or 글과 그림이 상호 작용 서사! 독립된 장르

(2) 그림책 유형

1) 그림 비중에 따라
- 글 없는 그림책: 상상력 자극
- 그림 비중 큰 그림책: 그림책 대부분 → 서사성+예술성
- 글 비중 큰 동화: 서사성 풍부

2) 글 그림 관계에 따라
협응 관계: 글 and 그림 = 내용 이해 (대등, 서로 보완)
확장 관계: 글 or 그림 = 내용 이해 (다른 하나를 구체화)
대위 관계: 글 ≠ 그림 → 모순 (역설적, 익살스러운 의미)

(3) 그림책 역할: 구성 전개 도움 / 분위기 조성 / 공간→심리 표현 / 성격 묘사

(4) 구성 요소: 판형 / 무드와 분위기(색깔, 명암, 채도, 색 조화·부조화)

(5) 지도 방법
- 이야기 나누며 읽어 주기: ① 준비하기 ② 동기 유발 ③ 읽어 주기(←예측하기 전략 활용 가능)
- 그림만 보고 이야기 상상하기: 반어·대위 관계 그림책 선정, 붙임 쪽지 활용
- 그림 없이 이야기 듣거나 읽고 장면 상상하기

 

4. 표준 발음 지도


(1) 개념: 국어 발음의 근거나 기준 → 문장 단위까지 지도, 구어+음독


(2) 필요성: 음성 언어 의사소통 효율 ↑


(3) 발음 오류
1) 음소
- 평음의 유기음화: 갈치[칼치]
-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가위바위보[가이바이보]
- 중모음의 고모음화: 나도[나두] → 아래의 배경 지식 참조

2) 낱말
- 연음 오류(받침의 발음): 꽃에[꼬체]→[꼬세]
- 소리 동화: 감기[강기]
- 된소리 되기: 가시[까시]
- 소리 첨가: 자그마치[자그만치]

3) 문장
- 쉼: 아빠가 방에 들어간다. vs 아빠가방에 들어간다.
- 힘주기: 누가 유리를 깼니? vs 누가 유리를 깼니?


(4) 표준 발음 지도 유의점: 발음-표기, 표기-음독 관계 인식! / 배려적 사고 / 지역화

- 표준 발음을 사용하는 것은 상대방을 배려하는 행위

- 발음은 지역 방언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해당 지역 학습자들이 많이 오류를 일으키는 발음 중심으로 지역화한다.

 

* 표준 발음 지도 배경 지식

(1)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 분류
1) 파열음: 폐에서 나오는 공기 → 막았다가 내는 소리
ㄱ,ㄷ,ㅂ(ㄲ,ㄸ,ㅃ / ㅋ,ㅌ,ㅍ)
2) 마찰음: 입안, 목청 사이 통로 → 좁혀 틈으로 공기 내보내기
ㅅ,ㅎ(ㅆ)
3) 파찰음: 폐에서 나오는 공기 → 막았다가 + 터뜨려 마찰
ㅈ(ㅉ / ㅊ)
4) 비음: 입안 통로 막기 + 코로 공기 내보내기
ㄴ,ㅁ,ㅇ
5) 유음: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 떼기 or 잇몸에 댄 채 공기를 양 옆으로 흘려 보내기

(2)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 분류
1) 입술 소리: ㅁ,ㅂ,ㅃ,ㅍ
2) 잇몸소리: 혀끝 + 앞니 뒤쪽 잇몸 → ㄷ,ㄸ,ㅌ,ㅅ,ㅆ,ㄴ,ㄹ
3) 센입천장소리: 혀 앞 + 센입천장 → ㅈ,ㅉ,ㅊ
4) 여린입천장 소리: 혀 뒤 + 목구멍 쪽 여린 입천장 → ㄱ,ㄲ,ㅋ,ㅇ
5) 목청 소리: 양쪽 성대 사이 좁은 틈 → ㅎ

 

(3) 소리 세기에 따른 자음 분류
1) 평음(예사소리): ㄱ, ㄷ, ㅂ, ㅈ
2) 경음(된소리): ㄲ, ㄸ, ㅃ, ㅉ
3) 격음(유기음, 거센소리): ㅋ, ㅌ, ㅍ, ㅊ


(4) 단모음 vs 이중모음
1) 단모음: 소리 낼 때 입술 or 혀 움직이지 x
10개(키위 제외해 vs 금붕어 좋아)

단모음 분류표


2) 이중모음: 입 모양 한 번 변함. ex) ㅑ, ㅕ, ㅒ, ㅖ

(5) ㄴ 첨가: 두 개의 말 → 하나의 말 될 때, 뒷말 ㅣ, ㅑ, ㅕ, ㅛ, ㅠ 시작
ex) 맨입[맨닙], 솜이불[솜니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