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복습퀴즈

초등임용 과학의 본성 일반적 특성 퀴즈


네이버 밴드 공유 카카오톡 공유


초등임용 과학 기본이론 과학의 본성 - 일반적 특성 매일복습 정리

 

초등임용 과학 기본이론 과학의 본성 퀴즈


1. 현대 과학 철학 인식론적 관점에서 지식은?

잠정적이다.

2. 현대 과학 철학 인식론적 관점에서 과학은?

주관적, 비합리적인 학문

3. 전통적 과학 철학 인식론적 관점에서 과학은?

객관적, 합리적인 학문

4. 태양은 동에서 서로 움직인다. → 어떤 철학적 측면?

과학은 자연 현상 설명하려는 시도

5. 관찰은 심리학적 측면에서 어떤 특성?

이론 의존성

 

 

6. 과학은 사회적 문화적 전통 일부이다. → 어떤 측면?

역사

7. 메코머스가 제안한 과학 본성 교수법 4가지

과학 방법 과정 속에서

과학 내용 과정의 일부로서

과학자들의 실제적 경험에서

교육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형식적 과정

8. 과학의 본성 하위 항목 3가지

과학의 일반적 특성

과학의 구성 요소

과학의 진보

9. 과학 탐구를 직접 수행하는 방식?

개방적 조사

10. 다양한 사실 관찰해 자연의 질서 찾는다. 어떤 특성?

일반화

 

초등임용 기본이론 개념맵 - 과학의 본성


과학의 본성
1) 정의
2) 본성에 대한 학습의 중요성
3) 구성 요소 X3
- 과학의 일반적 특성 X6 잠정성 / 간학문성 / 일반화 / 분석 및 해석 / 경험 중시 / 모형화


- 과학의 구성 요소
<태도>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태도 X11 증거의 존중 / 비판적인 마음 / 실패의 긍정적 수용 / 호기심 / 객관성 / 개방성 / 판단 유보 / 합리성 / 정직성 / 협동심 / 겸손과 회의


<과정>= 탐구
과학 탐구 학습 특징 X5 ①문제에 의문 ②증거 우선시 ③증거로부터 설명 ④대안적 설명 비추어 자신의 설명 평가 ⑤자신의  설명 의사소통+정당화

과학 탐구 과정 기능
* 기초 과학 탐구 기능 X6 관찰 / 측정 / 예상 / 분류 / 추리 / 의사소통
* 통합 과학 탐구 기능 X7 문제 인식 / 가설 설정 / 변인 통제 / 자료 변환 / 자료 해석 / 결론 도출 / 일반화
*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 / 모형의 개발과 사용 /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

과학적 사고 방법 X4 귀납법 / 연역법 / 가설-연역법 / 귀추법

<산물>= 지식 X5 사실 / 개념 / 법칙 / 이론 / 모형
- 과학의 진보 X4
귀납주의
포퍼 반증주의
라카토스 연구 프로그램
쿤 과학 혁명

 

과학의 본성

1) 정의


과학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속성. 과학은 무엇? 어떻게 구성되고 변화? 어떠한 속성과 가치? 총체적인 이해

과학적 소양: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바탕으로 기본적 과학 지식탐구 경험, 과학적 태도 고루 갖추는 것
* S-T-S: 과학, 기술, 사회 현상 사이 상호작용 탐구하는 것
* 과학 기술의 양면성 ex) 전자기 기술 → 펄스 공격, 종양 치료

<철학>
- 전통: 불변성! 객관적 자료나 절대적 근거 바탕으로 귀납법, 연역법, 가설 연역법! 과학=합리적 학문
- 현대: 잠정성! 사회적 합의, 상상력 등! 비합리적 학문!

* 과학 = 자연 현상 설명하려는 시도
* 과학 = 모든 질문에 답 하지 못한다.
* 과학 지식 = 영속성 + 잠정적 특성
* 과학 지식 = 경험(관찰, 실험적 증거), 사회적 합의(이성적 논쟁, 회의론)에 의존
* 이론 ≠ 법칙 (이론은 사실, 개념, 법칙에 대한 설명)

<사회학>
* 과학 지식 = 개방적 보고
* 과학 지식 = 사회적 합의로 구성 → 정확 기록 보유 / 동료 간 상세 재검토 / 재현 가능성
* 과학자 = 윤리적 결정
* 모든 문화 = 과학에 기여

<심리학>
* 관찰 = 이론 의존적 → 선행 지식 등에 따라 달라진다.
* 과학자 = 창의적

<역사>
* 과학 = 사회적·문화적 전통의 일부
* 과학 = 국제적 함의
* 과학 = 기술과 서로 영향
* 과학 ← 사회, 정치
* 과학적 아이디어 ← 사회적·역사적 환경
* 과학사 = 누적적(귀납주의), 발전적(반증, 수정), 혁명적(기존 지식 폐기) 특성

 

2) 본성에 대한 학습의 중요성


- 실리적) 일상생활 문제 해결 도움
- 민주적) 사회 과학적 논쟁거리 이해, 의사 결정 참여
- 문화적) 현재 문화의 주요 요소로서 과학 가치 인식
- 윤리적) 사회 일반적 가치인 도덕적 책임, 과학 사회 규준 이해
- 과학 학습) 과학 개념 이해에 실질적 도움

* 과학 본성 다루는 교수·학습
- 철학적 상황: 과학 지식은 무엇이며 어떻게 형성되는가
- 사회적 연구: STS적 관점
사회·역사적 사례 연구: 위대한 과학적 업적, 성과
- 개방적 조사: 과학 탐구, 연구 직접 수행


3) 과학의 본성을 구성하는 요소 X3


- 과학의 일반적 특성 X6
① 잠정성: 절대적 진리가 아님.
② 간학문성: 영역 간, 다른 학문들과의 의존적 관계
③ 일반화: 관찰 사실로부터 자연 질서 찾는다.
④ 분석 및 해석: 숨겨진 의미 찾고 규칙 밝혀 설명
⑤ 경험 중시: 직접 관찰, 경험 추구
⑥ 모형화: 상세한 부분 생략, 중요한 부분 포착 표상
- 과학의 구성 요소 → 여기서부터 다음 글에서 계속됩니다.
- 과학의 진보 X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