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예방이론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회복적 생활교육과 회복적 정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실 분께서는 다음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0/12/28 - [시험 공부] - 학교폭력 상담과 피해학생 이해 및 상담
2020/12/29 - [시험 공부] -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주변학생의 이해, 유형 (동조, 강화, 방관, 방어)
공부하시며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과제헬퍼 질문을 이용해주세요.
회복적 생활교육의 이해
(1)회복적 생활교육의 필요성
-응보적 정의
->잘못에 응당한 벌을 주는 것이 정의롭다는 관점
->상벌제, 봉사활동, 학급교체, 강제전학 등을 사용
-응보적 방법의 한계
->자발적인 책임감을 배우지 못하며 오히려 힘의 논리 경험
->가해자 중심 처벌: 피해자 소외현상 발생
->피해 당사자 필요를 채우지 못함
-회복적 정의의 대두
->피해 회복과 관계 회복이 처벌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공동체가 함께 문제해결을 위해 협력 하기
->회복적 정의에서 잘못은 관계성에 대한 침해이므로 피해를 회복하기 위한 피해자의 요구와 가해자의 자발적인 책임, 공동체의 참여가 필요하다(Zehr, 2005)
-회복적 생활교육
->상호 존중과 자발적인 책임, 상호 이해와 공동체성을 기르는 회복적 정의의 교육적 접근
(2)회복적 정의란 무엇인가?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에 주목
->기존의 응보적 정의가 가해자를 어떻게 처벌할 것인지에 대해 주목했다면 회복적 정의는 피해자의 피해와 상처를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에 주목하며 피해가 회복되었을 때 정의가 이루어진다는 입장
-갈등 당사자들이 자발적으로 책임을 지도록 함
->가해자는 피해자의 물질적 피해, 마음의 상처, 공동체의 관계 훼손을 회복해야 하는 책임과 의무를 가짐
->갈등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대화를 통해 피해를 충분히 공감하도록 하여, 자발적으로 합의하고 책임을 이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공동체가 회복되도록 노력함
->갈등을 법의 위반이 아닌 관계의 훼손으로 봄. 갈등을 풀어나가는 과정에 관련된 사람들이 참여하여 함께 대화함으로썩 갈등으로 인해 깨어진 공동체가 회복되도록 함
(3)회복적 생활교육의 원칙
1.관계 중심
2.공동체의 참여
3.힘을 부여
4.상호 존중
5.지배체제가 아닌 파트너십 체제
6.합의에 의한 의사결정
7.갈등을 성장과 배움의 기회로 삼기
(4)회복적 생활교육의 방법
-.관계성 강화 단계
->평화적 문화의 토양을 다지는 단계
예)학급 서클, 공감적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갈등해결능력 훈련 프로그램
-관계석 회복 단계
->비교적 어렵지 않은 갈등으로 공동체 내부에서 대처할 수 있는 단계
ex)문제해결 서클, 회복적 대화모임, 또래 중재
-관계성 재건 단계
->심각한 갈등이 발생했을 경우 외부의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단계
ex)가해자-피해자 대화모임, 가족 회합, 회복적 서클
-회복적 질문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이 일로 누가, 어떤 영향(피해)를 받았나요?
->어떻게 하면 그 피해가 회복될 수 있을까요?
->앞으로 이런 일이 생기지 않으려면 어떻게 할까요?
->친구들이나 선생님께 부탁할 것은 무엇인가요?
'초등임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폭력예방이론 - 상담대화의 실제, 아동과 대화 시 지침 (0) | 2020.12.30 |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 ABC이론, 자아존중감 증진 (0) | 2020.12.30 |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주변학생의 이해, 유형 (동조, 강화, 방관, 방어) (0) | 2020.12.29 |
학교폭력 상담과 피해학생 이해 및 상담 (0) | 2020.12.28 |
판소리와 창극, 가야금 병창과 산조, 풍물놀이 사물놀이 차이 (0) | 2020.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