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배움노트[1차]

초등임용 모형 정리 과목별 유사 모형 뽀개기


임용고시 전문 블로그, 오늘의 공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등임용 교과별 유사 교수학습모형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초등임용고시란 시험에서는 과목만 무려 14개가 존재합니다.

- 교육과정 총론과 창체를 합친 총창

- 국정교과서 5과목인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도덕

- 검정교과서 5과목인 체육 음악 미술 실과 영어

- 1-2학년 주제 중심의 국정교과서를 사용하는 바슬즐(통합교과)

 

이 14개의 과목에서 총창, 영어, 음악을 제외한 11개 과목에서는 교수학습모형이란 것이 등장합니다.

이 모형들 간에는 서로 겹치는 것들도 많아서 제대로 정리가 안 되면 공부가 전반적으로 늘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제가 제안하는 모형 정리 방법은 이렇습니다.

1) 모든 과목과 겹치는 국어과 교수학습모형을 우선적으로 암기합니다. (국어는 가장 배점이 높은 과목이므로, 우선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과목)

2) 국어과 교수학습모형에서 연상되는 다른 과목 교수학습모형의 명칭을 브레인스토밍으로 작성합니다.

3) 브레인스토밍으로 뻗어나간 각 모형들의 단계를 암기하여 작성합니다.

4)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모형들은 따로 암기합니다.

 

본 글에서는 1)과 2)를 통해 과목 간 유사 모형을 짚어드리겠습니다.

(국어과 교수학습모형의 각 단계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정리하겠습니다.)

 

국어과 교수학습모형 X9

① 직접교수모형 ② 문제해결학습모형 ③ 창의성계발학습모형지식탐구학습모형 ⑤ 가치탐구학습모형

⑥ 반응중심학습모형역할수행학습모형 ⑧ 토의토론학습모형 전문가협동학습모형 (=직소모형)

 

국어과에는 9가지의 교수학습모형이 있습니다.

국어과 교수학습모형은 다른 교과에서 사용되는 교수학습모형들과 전부 겹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크게 빨, 노, 초, 주로 색칠한 모형은 도덕, 회색으로 색칠한 세 모형은 미술, 보라색으로 색칠한 모형은 온갖 과목들에서 폭넓게 활용되는 모형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도덕과 교수학습모형에서 모범감화형, 실습실연형, 실천체험형, 집단탐구, 도덕이야기수업모형, 경험학습수업모형을 제외하면 다 국어과와 비슷비슷한 이름의 수업모형이 겹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덕과 교수학습모형 X16>

6 수업과정·절차
(1) 지식이해형 (2) 가치판단형 (3) 모범감화형 (4) 가치심화형 (5) 실습실연형 (6) 실천체험형

10 도덕과 주요 수업모형
(1) 역할놀이 (2) 개념분석 (3) 가치분석 (4) 가치갈등해결 (5) 가치명료화 (6) 합리적 의사결정 (7) 집단탐구 (8) 도덕적 토론 (9) 도덕이야기수업모형 (10) 경험학습수업모형

 

국어과의 지식탐구학습모형과 가치탐구학습모형을 보면, 사회과에서 뱅크스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의 2단계 사회탐구와 3단계 가치 탐구가 연상되기도 하고, 위 도덕과 교수학습모형의 지식이해형이나 개념분석 / 가치 시리즈들이 연상됩니다.

사회과 뱅크스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 X5
① 문제 제기 ② 사회 탐구 ③ 가치 탐구 ④ 의사 결정 ⑤ 행동

 

국어과의 지식 탐구 학습모형을 통해서 과학과 사회의 탐구학습모형 역시 연상이 가능합니다.

다만, 자연과학이나 사회과학 쪽에서는 조금 더 가설을 설정하고 그것을 밝혀가는 과정을 중시하는 것에 포커스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과학 사회 국어
탐구 학습 모형 지식 탐구 학습 모형
탐색 및 문제 파악
가설 설정
실험 설계
실험
가설 검증
적용 및 새로운 문제 발견
(1) 마시알라스, 콕스
탐구 문제 파악
가설 설정
탐색
증거 제시
일반화
(2) 뱅크스, 차경수
문제 제기
가설 설정
용어 정의 및 개념화
자료 수집
자료 분석
가설 검증 및 일반화
문제 확인하기
자료 탐색하기
지식 발견하기
지식 적용하기

 

국어과의 다음 세 모형은 미술과의 모형이 연상되기도 합니다.

① 직접교수모형 ③ 창의성계발학습모형 ⑥ 반응중심학습모형 

우선, 직접교수모형은 미술과에도 있는 내용입니다. 뿐만 아니라, 체육과에도 있죠.

직접교수모형을 비교해보면, 국어과에서 다루고 있는 '설사질환'이란 청킹 구조는 교과 성격에 따라 이름이나 배치가 달라질 뿐,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미술 국어 체육
직접 교수
문제 인식
설명 및 시범
질의 응답
연습 활동
작품 제작
정리 및 발전
설명하기
시범 보이기
질문하기
활동하기
전시과제 복습
새로운 과제 제시 - 설명 및 시범
초기 과제 연습
피드백 및 교정 - 긍정적+교정적 피드백
독자적인 연습
본시 학습 복습

 

 

다음으로, 국어과의 창의성 계발학습모형은 미술과의 창의적 문제해결법과 유사합니다.

미술과에서는 아이디어 생성을 아이디어 탐색으로, 아이디어 선택을 아이디어 정교화로 조금 더 미술스럽게 표현했을 뿐이죠.

미술 국어
창의적 문제 해결법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
문제 인식
아이디어 탐색
아이디어 정교화
아이디어 적용
종합 및 재검토
문제 발견하기
아이디어 생성하기
아이디어 선택하기
아이디어 적용하기

 

국어과의 반응중심학습모형 역시 미술과에 존재하는 모형으로,

반응 형성, 반응 명료화, 반응 심화의 무려, 세 단계가 동일합니다.

미술 국어
반응 중심 학습
반응 형성
반응 명료화
반응 심화
반응 내면화
반응 준비하기
반응 형성하기
반응 명료화하기
반응 심화하기

그러나 미술과에서는 반응을 심화한 다음 내면화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추가하며 예술가로서의 소양을 조금 더 강조하였고

국어에서는 반응 형성 이전에 준비하는 단계를 추가하였습니다.

 

다음으로, 국어과의 문제해결학습모형은 수학, 사회, 실과에서도 사용됩니다.

실과에서는 문제해결교수학습방법 외에도 기술적 문제해결과정, 실천적 문제해결학습이란 것까지 따로 있어 문제해결과정을 특히나 중시하고 있죠.

수학 국어 사회 실과
문제 해결 학습
문제의 이해
해결 계획의 수립
해결 계획의 실행
반성
문제 확인하기
문제 해결 방법 찾기
문제 해결하기
일반화하기
문제 확인
문제 발생원인 파악
문제 해결방안 탐색
문제 해결방안 결정
문제 해결방안 실천
문제 인식
정보 수집을 통한 문제해결방안의 마련과 선택의 준비
문제해결방안 설정
문제해결방안 적용
결과에 대한 평가

국어과에서는 방법을 찾아서 해결하라고 비교적 단순하게 모형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수학 역시 수립해서 실행하라는 게 같은 맥락이죠.

사회과에서는 원인을 파악해 여러 가지 문제해결방안을 찾아서 하나를 결정한 뒤, 실천하는 방식으로 구체적입니다. (원인 - 탐색 - 결정 - 실천)

실과에서는 해결방안의 마련과 동시에 선택을 준비하는 과정을 명시적으로 나타낸 것이 특징입니다.

한그릇음식 만드는 준비를 한다, 이렇게 연상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국어과 교수학습모형을 단계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여러분께서는 본 글에서 짚어준 유사 모형 외에도 다른 모형들의 명칭을 적고 각 단계를 암기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주세요.

👏완독을축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