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시간에는 백제의 주요 왕들 업적(행적)에 대해
백제의 성립, 발전, 그리고 위기와 중흥을 위한 노력으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한능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과 학교 시험이나 과제를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백제의 성립
(1) 성립
백제는 한강 유역의 토착 세력과 고구려 계통의 유이민 세력의 결합으로 성립되었다. (기원전 18년)
우수한 철기 문화를 보유한 유이민 집단이 지배층을 형성하였다.
백제는 한강 유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려던 한의 군현을 막아 내면서 성장하였다.
(2) 고이왕
3세기 중엽 고이왕 때 낙랑·대방군을 공격하여 한강 유역을 완전히 장악하고, 중국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여 정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이 무렵 백제는 형제 왕위 상속제가 확립되었고,
율령을 반포하였으며
관등제를 정비하고
관복제를 도입하는 등 지배 체제를 정비하여 중앙 집권 국가의 토대를 형성하였다.
* 율령 뜻: 형벌과 행정에 관한 법규제도
* 백제의 건국
백제는 고구려 주몽의 아들로 알려진 온조가 남하하여 한강 유역의 하남 위례성에 정착한 후 마한의 소국 가운데 하나로 발전하였다.
2. 백제의 발전
(1) 근초고왕 (346~375)
4세기 중반 백제는 마한의 나머지 세력을 정복하여 전라도 남해안에 이르렀으며, 북으로는 황해도 지역을 놓고 고구려와 대결하였다.
또한 낙동강 유역의 가야에 대해서도 지배권을 행사하였다.
정복 활동을 통하여 축적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백제는 수군을 정비하여 중국의 요서 지방(산둥 반도의 위)으로 진출하였고,
이어서 산둥 지방과 일본의 규슈 지방에까지 진출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벌였다.
이로써 백제의 왕권은 점차 전제화되고 부자 상속에 의한 왕위 계승이 시작되었다.
(2) 침류왕 (384~385)
불교를 공인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사상적으로 뒷받침하였다.
(3) 비유왕 (427~455)
장수왕의 남하 정책에 대항하여 신라의 눌지왕과 나제 동맹을 체결하였고, 송과도 통교하였다.
3. 백제의 위기와 중흥을 위한 노력
(1) 개로왕 (455~475)
중국 북조의 북위에 국서를 보내고 장수왕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2) 문주왕 (475~477)
장수왕의 남진 정책으로 위기에 처하자 백제는 5세기 이후 고구려의 적극적인 남하 정책에 밀려 475년 웅진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대외 팽창이 위축되었다.
중국과 일본 지역의 정세 변화에 따라 무역 활동도 침체되어 경제적으로도 어려움을 겪었다.
이 과정에서 왕권이 약화되고 귀족 세력이 국정을 주도하였다. (웅진 백제 시기 3명의 왕-문주왕, 삼근왕, 동성왕-이 피살당함.)
(3) 동성왕 (479~501)
6세기 초반 백제는 다시 사회가 안정되고 국력을 회복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신라 소지왕과 동맹을 강화하여 고구려에 대항하였고,
498년에는 탐라를 복속하였다.
(4) 무령왕 (501~523)
지방의 22담로(지방 지배의 거점)에 왕족을 파견함으로써 지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여 백제 중흥의 발판이 마련되었다.
(5) 성왕 (523~554)
538년, 대외 진출이 쉬운 사비로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로 고치면서 중흥을 꾀하였다.
중앙 관청을 22부로 확대하고 지방 제도(수도 5부, 지방 5방)를 정비하고, 승려 겸익을 등용하여 불교를 진흥하였다.
성왕은 고구려의 내정이 불안한 틈을 타서 신라와 연합하여 일시적으로 한강 유역을 부분적으로 수복하였지만 신라에게 빼앗기고, 신라를 공격하다가 관산성에서 전사하고 말았다.
'초등임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의 특징과 음계 (구음 12율) & 기본 선법과 악기 분류 방법 (1) | 2020.12.09 |
---|---|
세종대왕의 음악적 업적 - 황종율관과 도량형의 통일, 향악의 천명 (0) | 2020.12.09 |
국악의 구분과 종묘제례악 (아악, 당악, 향악 vs 정악, 민속악) (0) | 2020.12.06 |
[한국사] 백제의 문화 (유학, 불교, 도교, 기술) (0) | 2020.10.03 |
[한국사] 백제의 통치 체제 (관등, 정치, 군사 조직) (0) | 2020.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