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의 구분과 종묘제례악 (아악, 당악, 향악 vs 정악, 민속악)
1. 아악, 당악, 향악 아악, 당악, 향악은 조선시대의 음악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조선시대 궁중에서 유행했던 음악을 구분한 것이다. (1) 아악 (아름다운 음악) - 협의의 아악: 고려 예종 9년(1114년)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아악 유입. 종묘(선왕들의 제사를 지내는), 원구, 사직, 태묘 등의 궁중 제례음악으로 사용 (지금은 문묘제례악으로만 사용. 문묘는 공자와 그 제자들, 우리나라 성리학의 학자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문선왕묘의 줄인 말. 문선왕은 공자가 돌아가신 뒤의 이름인 공자의 시호) - 대의의 아악: 현재의 정악 (2) 당악 당나라 음악과 송의 교방악과 사악을 포함한 중국 속악의 통칭 (보허자, 낙양춘 두 곡이 남아있다.) 대성아악은 궁중 제례음악인 반면, 교방악은 파티 음악..
더보기
[한국사] 백제의 문화 (유학, 불교, 도교, 기술)
안녕하세요? 오늘의 공부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백제의 문화 (유학, 불교, 도교, 기술 등)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한능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학교 시험이나 과제를 준비하시는 분들, 그리고 한국사가 재밌어서 들리신 분들 모두 환영합니다. 1. 백제의 교육 기관과 유학 교육 백제의 교육 기관은 전하지 않으나 5경 박사와 의박사, 역박사 등이 있어 유교 경전과 기술학 등을 가르쳤다. 또한 개로왕이 북위에 보낸 국서는 매우 세련된 한문 문장으로 쓰여졌으며, 사택지적 비문에는 백제 귀족인 사택지적이 불당을 세운 내력을 기록하고 있다. * 5경 박사: 역경, 시경, 서경, 예기, 춘추 등 다섯 경서에 능통한 사람에게 준 관직 * 사택지적비: 의자왕 때 백제 상좌평을 지낸 사택지적이 절을 짓..
더보기
[한국사] 백제의 통치 체제 (관등, 정치, 군사 조직)
이번 시간에는 백제의 통치 체제 (중앙 관제, 정치 조직, 군사 조직)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한능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과 학교 시험이나 과제를 준비하시는 분들, 백제에 관해 더 알고 싶으신 모든 분들께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1. 백제의 중앙 관제 백제의 관등 조직은 6좌평 이하 16관등으로 조직되었다. 백제는 일찍부터 중국 주나라의 6전 조직을 모방한 6좌평 제도를 두어 고구려나 신라에 비해 정비된 모습을 보였다. 백제 관등은 좌평과 솔 계열, 덕 계열, 무명 계열의 3단계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자색, 비색, 청색의 공복으로 구별되었다. 백제는 사비 천도 이후에 새로 22부의 중앙 관서를 더 설치하였는데, 22부는 궁중 사무를 담당하는 내관과 일반 행정을 담당하는 외관으로 나..
더보기